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항노화산업이 뜬다” 충북도, 국립노화연구원 유치 재추진

국내 시장규모 10년만에 2배 이상↑… 오송 거점 '특성화산업' 육성 필요성 대두
2013년 기재부 예비타당성 조사 불합격 뒤 '스톱'… 대구·부산 유치전 뛰어들어

(세종ㆍ충북=뉴스1) 송근섭 기자 | 2015-06-22 14:56 송고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News1 D.B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News1 D.B
충북도가 급속도로 성장 중인 항노화산업 시장을 선점하기 국립노화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 유치에 다시 도전한다.
22일 충북도에 따르면 최근 충북발전연구원은 ‘항노화산업의 전망과 충북의 대응전략’을 주제로 한 연구과제 보고서를 내놨다.

항노화산업은 노인성 질병 치료·예방의 범위를 넘어 의약품, 식품, 노화피부관리, 모발관리제품, 식이조절 프로그램, 건강관리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고령화 문제가 대두되면서 항노화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6년 145조원(1321억달러)에서 2013년 301조원(2745억달러)으로 급성장했다.

2030년에는 전 세계 시장규모가 461조원(4200억달러)을 넘어서는 등 연평균 11.1%의 성장이 예상된다.
국내 항노화 시장 규모도 2011년 11조9000억원에서 2020년에는 두 배가 넘는 28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처럼 고령화사회에 맞춰 급성장하고 있는 항노화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국내 지자체도 전략 마련에 분주하다.

충북도의 경우 한 차례 무산됐던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다시 시동을 거는 모양새다.

보건복지부의 국립노화연구원은 총사업비 760억원을 들여 연구인력 200여명을 갖추고 노화에 대한 조사·연구, 교육훈련 등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이다.

2007년 12월 오송첨복단지에 국가비축토지 7000여평을 확보하고 보건복지부에서 오송입지 의사를 내비치는 등 충북 유치가 기정사실처럼 받아들여졌지만, 2013년 11월 기획재정부가 ‘예비타당성 부적합’ 판단을 내려 제동이 걸렸다.

이후 충북도의 국립노화연구원 유치는 사실상 흐지부지되는 듯 했지만, 최근 그 필요성이 다시 대두되고 있다.

충북발전연구원은 오송의 입지 장점을 활용, 항노화산업을 충북의 특화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계획됐던 국립노화연구원 뿐만 아니라 항노화산업 융복합 지원센터 충북지원 설치, 국가줄기세포은행과 연계한 줄기세포 전문치료병원 유치, 한방바이오 장수유전자연구소 건립, 안티에이징 클리닉 서비스센터, 국립 한방항노화 과학기술원 설립 등 다양한 아이디어가 도출됐다.

물론 유치 가능성·실현성 등을 세밀하게 검토하지 않은 ‘아이디어’ 단계에 불과하지만, 그만큼 항노화산업에 대한 전략적 접근·육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충북도 역시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항노화산업 관련 연구기관·시설 유치에 다시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부산·대구 등 타 지자체도 국립노화연구원 유치에 뛰어든 상황이어서 보다 타당성 있는 사업계획과 관련 법 개정 등 유치전략을 마련하는데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의 경우 지난해부터 국립노화연구원 유치를 공식화한 뒤 유재중(새누리·부산수영) 국회의원이 노화연구원 설립 근거가 되는 ‘저출산·고령사회 기본법 개정안’을 발의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선 바 있다.

대구시도 국립노화연구원을 비롯한 항노화산업 기반시설 유치·건립계획을 수립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충북은 노화연구원 유치 무산 이후 별다른 움직임에 나서지 않아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할 처지다.

충북도 관계자는 “국립노화연구원은 항상 유치를 추진해 왔지만 기재부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부적합으로 나온 뒤 공식적인 유치활동은 하지 못했다”며 “항노화산업 시장이 계속 성장하고 있는만큼 노화연구원 등 관련 시설 유치에 다시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songks85@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