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우유재고 사상최대, 가격조절 못하는 원유가 연동제 때문?

원유가 연동제 실시 이후 수급 대응 불가능해져…저출산·대체 제품 이유로 '삼중고'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2014-09-22 16:25 송고
소비자들의 외면과 규제로 인해 국내 원유·분유 재고량이 12년 만에 최대규모로 쌓이면서 관련업체들이 위기에 직면했다. © News1
소비자들의 외면과 규제로 인해 국내 원유·분유 재고량이 12년 만에 최대규모로 쌓이면서 관련업체들이 위기에 직면했다. © News1

원유·분유 재고량이 사상최대 수준까지 늘어난 가운데 원유(原乳)가격 연동제와 저출산, 대체 제품의 등장이 이번 사태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원유가 연동제의 경우 1년에 한 번 사료값 등 통계청이 조사한 낙농가의 생산비에 따라 원유 가격을 조정하기 때문에 매달 급변하는 수급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하기가 불가능하다. 이는 고스란히 시판 우유 가격 상승으로 연결되고 있다.
22일 낙농진흥회에 따르면 국내 우유업계 총 분유재고량은 1만4896톤(7월 기준)으로 6월 1만5554만톤 대비 소량 감소했지만 지난해 7월 7536톤에 비해 두배 가량 늘어났다. 이는 지난 2002년 이후 12년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최근 원유 생산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반면 소비가 줄어들면서 물량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유통기한을 늘리기 위해 탈지분유화해서 저장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한계치에 도달했다.

이번 사태에 대해 대다수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우유 값이 지나치게 비싸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우유가 남아도는 상황인데도 우유값이 오르면서 자주 찾기 부담스러워졌다는 것이다.
관련업계에서는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여러가지 원인 중에서도 수급에 따른 유동성을 저해시키는 원유가 연동제를 꼽고 있다. 원유가 연동제는 낙농가와 우유 업계가 원유 가격을 거래할 때마다 갈등이 빚어지는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매년 8월 원유가격을 정하는 제도다.

원유가 연동제가 실시되기 이전까지는 '낙농가→낙농진흥회→제조업체→마트→소비자'의 단계를 거치면서 가격이 자연스레 형성됐다. 낙농진흥회가 원가 등을 고려해서 낙농가로부터 원유를 사오면 이를 검사한 뒤 해당 비용을 붙여 제조사로 넘기고 이를 상품화 하는데 드는 값이 붙어 시중에 유통된다.

그러나 지난해 원유가 연동제가 도입된 이후부터는 생산량 변동에 따라 가격을 조정하지 못하게 돼 우유가 남아도 가격을 내리지 못하거나 우유가 모자라도 가격을 올리지 못해 재고가 쌓일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됐다.

경상북도 예천시에서 낙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한 관계자는 "우유가 남아돌아도 납품하는 규모는 일정하다"며 "낙농가에서도 가격 조정이 수월치 않아졌다는 것을 알고 사실상 원가 절감을 위해 애쓰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과거와 달리 국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면서 우유 이외에도 영양소를 섭취할 만한 식품이나 제품이 많아진 점과 저출산으로 인한 유아 소비량 감소도 재고가 쌓이는데 영향을 미쳤다.

또 다른 우유업계 관계자는 "과거 70~80년대만해도 많은 이들이 영양을 섭취하기 어려워 정부차원에서 우유를 권장하는 등 소비를 촉진시켰지만 대체 제품이 많아진 현재는 상황이 많이 다르다"며 "우유소비량 자체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jdm@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