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발암물질 검출된 방향제·소독제 버젓이 유통

생활용품 제조업체 대부분 영세…안전기준조차 없어 '사각지대'

(서울=뉴스1) 이은지 기자 | 2014-08-18 18:28 송고

    

서울 종로구 삼청동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이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과 유사사건 방지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2013.1.22/뉴스1 © News1
서울 종로구 삼청동 제18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앞에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모임이 가습기살균제 피해대책과 유사사건 방지대책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2013.1.22/뉴스1 © News1

방향제, 소독제, 김서림방지제 등 생활화학가정용품에서 유해물질이 여전히 검출되고 있다. 생활화학가정용품을 만드는 제조업체들이 영세한데다가 안전기준조차 마련돼 있지 않아서다. 제2의 가급기살균제 사고가 발생할 지 모른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주영순 의원에 따르면 생활화학가정용품 19개 품목 가운데 안전기준조차 없는 품목이 9종, 제품은 약 1000여개가 넘는다. 9종 가운데 방향제, 자동차용 스프레이, 방충제 등 6종의 74개 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을 분석한 결과 45.9%에 해당하는 34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발암물질인 폼알데하이드, 디클로로메탄 등을 비롯해 가습기살균제 사고 함유물질인 메칠이소치아졸리논, 중금속인 바륨과 크롬 등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됐다.

안전기준이 없는 제품인 경우 절반 정도가 유해물질이 검출된 셈이다. 이유가 뭘까.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생활화학가정용품 제조업체들 가운데 영세한 곳이 대부분이어서 값싼 재료를 사용하는데다가 법적 기준이 없어 관리가 안되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주 의원이 밝힌 유해물질이 검출된 업체 대부분은 이름이 생소하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34개 제조업체 가운데 연매출 규모가 1000억원에 이르는 업체는 2곳에 불과하다. 주 의원실 관계자는 "업체들이 영세하다보니 값싼 재료를 사용해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며 "결국 안전기준을 만들어 법으로 제재해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는 제조업체는 도태하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생활화학가정용품 시장 규모는 집계조차 어렵다. 샴푸, 주방세제, 치약 등 덴탈, 세탁세제는 각각 1500억, 1200억, 1500억, 4000억원으로 추산이 가능하지만 방향제, 소독제, 방충제, 문신용염료 등은 집계된 자료조차 없다. 업계 관계자는 "생활화학가정용품 시장을 어디까지 볼 지 애매한데다가 카테고리별로 시장규모를 추산하더라도 방향제, 소독제 등은 규모가 너무 적고 영세한 업체가 난립하고 있어 추산조차 어렵다"고 말했다.
특히 문신용염료는 조사한 18개 제품 가운데 12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검출될 만큼 안전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유해물질이 검출된 제품 모두 수입산이다. 주 의원실 관계자는 "문신용염료 등을 비롯해 유해물질이 검출된 제품 상당수는 수입제품이 많다"며 "영세한 수입대행업체들이 안전기준이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는 허술한 법망을 악용해 저렴한 제품들을 수입한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가기술표준원에서 관리하고 있는 생활화학가정용품은 세정제, 방향제, 코팅제, 탈취제, 합성세제, 표백제 등 8개 품목의 3000여개의 제품이다. 국가기술표준원 관계자는 "관리하고 있는 품목은 안전기준이 마련돼 있어 KC마크를 부여하고 있지만 미관리품목이 아직 많다"며 "미관리품목에 대한 법적 기준을 만드는 동시에 제조업체 스스로 유해물질이 검출되지 않도록 제품을 만드는 자정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lej@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