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국토부, 7500억원 외화유출 막는다…항공정비산업 실태조사 완료

(세종=뉴스1) 진희정 | 2014-07-21 11:13 송고

 연간 7500억원의 외화유출을 막기 위해 정부가 항공정비(MRO)산업을 적극 육성키로 했다. 이를 위해 MRO산업을 수출전략산업으로 편입시키고 민간과 협조하고 외국 전문 기술 도입과 함께 관련 제도 정비에 나서기로 했다.

21일 국토부에 따르면 '2014업무보고' 일정대로 연내 관련 종합대책을 마련키로 하고 단계별 작업에 착수했으며 1차적으로 국내 MRO 산업 현황과 실태조사를 마쳤다.
그동안 국내 항공산업은 운송위주로 발전해 왔으며 MRO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불구 현실적 한계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2012년 항공법 개정으로 정비업 등록요건 완화 및 범위가 확대됐지만 수요가 부족해 지지부진했다.

현재 대한항공은 기체 100%·부품 70%를, 아시아나는 기체 90%·부품 50%를 자체 정비하고 있으며 LCC(저가항공)는 기체와 부품정비 100%를 해외 정비업체에 의존하고 있다.

민간 MRO 뿐만 아니라 군수의 경우에는 50%는 자체정비, 35%는 국내위탁, 15%는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자체정비 시설도 노후화로 현대화 추진이 필요한 상태다.
업계 관계자는 "항공사의 자가 정비수준은 기체·운항정비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정비시설과 기술 등의 부족으로 엔진과 부품정비의 약 30%는 외국에 의존하고 있다"면서 "미국이나 싱가폴, 대만, 호주 등에 위탁해 연간 7500억원의 외화가 유출되고 있다"고 귀띔했다.

실제로 국내와 달리 싱가포르와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는 항공 MRO 업계 간 경쟁이 치열한 편이다. 싱가포르는 세계 항공 MRO의 허브로 불리며 1990년대부터 국부펀드 테마섹을 통해 항공 MRO를 적극 육성했다. 중국도 싱가포르의 엔지니어링 기업인 STA와 독일 루프트한자 등과 손잡고 항공 MRO 키우기에 나섰다. MRO 기반 없이 항공산업의 경쟁력을 구축하기 어렵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국토부도 그동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등을 포함한 'MRO산업 중장기 발전방안'을 추진중에 있다. 이달까지 1억5000만원을 지원해 기획연구중이다.

올해 11월까지 MRO 산업 발전방안을 수립하고 지원체계 선진화를 통해 외화유출 방지와 일자리 창출, 항공산업 활성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해외 전문 MRO업체의 국내공항 유치를 통해 MRO클러스터를 조성키로 했다. 또 제동장치 시험장비 등 MRO 기술 국산화, 기술지원센터 구축 등을 통해 전문업체 성장도 지원한다.

김홍목 항공산업 과장은 "엔진·부품정비는 선진국 제작사 주도의 높은 진입장벽을 형성하고 있다"면서 "지금 당장은 힘들지만 단순히 제작·정비에 그치는 수입대체산업에서 앞으로는 소형항공기급부터 중형항공기급까지 단계별 로드맵에 따른 국산화와 수출기반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hj_jin@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