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벌마늘' 농업재해라더니 왜 늦장 부리나"… 제주 마늘농가 '성토'

(제주=뉴스1) 오미란 기자 | 2024-05-13 15:46 송고
13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김승준·양병우·하성용 의원 공동 주최로 '마늘 생장피해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및 단체와의 정책간담회'가 열리고 있다.(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공)
13일 오전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김승준·양병우·하성용 의원 공동 주최로 '마늘 생장피해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및 단체와의 정책간담회'가 열리고 있다.(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공)

정부가 올해 이상기후에 따른 마늘 2차 생장(벌마늘)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했음에도 그 후속 조치가 지지부진하다는 비판이 제주 마늘 농가들로부터 제기되고 있다.

13일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김승준·양병우·하성용 도의원 공동 주최로 열린 '마늘 생장 피해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관계기관 및 단체와의 정책간담회'에 참석한 농민들은 벌마늘 피해 대책과 관련해 농림축산식품부와 농협을 집중 성토했다.
서귀포시 안덕면에서 마늘 농사를 짓는 김창남 씨는 "사실 이렇게 앉아서 수매가 같은 걸 얘기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며 "지금 농민들은 삼중고를 겪다 못해 내년 마늘 농사까지 다 포기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채소가격안정제 예산이 확보돼 있다고 해도 정부가 벌마늘 피해를 농업재해로 인정한 만큼 빠른 시일 내에 50억원 정도 예비비를 투입해 비계약 물량까지 수매하는 과감한 결단을 내려야 하는 게 아니냐"며 "당장 열흘 내로 결정돼야 한다. 마늘이 다 썩어 문드러질 때 수매하겠다고 할 거냐"고 따져 물었다.

같은 지역의 마늘 농가 김대승 씨도 "45년 동안 마늘 농사를 지으면서 이 정도 피해를 입어 본 적이 없는데, 피해 지원 상황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 다들 모르고 있다"며 "보전 단가가 1㎏당 2400원으로 결정됐다는 건 뭐고, 농가 자부담은 또 뭐냐. 일각에선 (농협에서) 비계약 농가 벌마늘은 수매하지 않을 것이라는 소문도 나돌고 있다"고 전했다.
강경택 전국마늘생산자협회 제주지부 회장 또한 "마늘 주산지 협의회가 지난 10일 농민들을 완전히 배제한 채 수매가 등을 논의한 것 역시 매우 유감"이라며 "자부담 포함 1㎏당 2400원의 수매가는 절대 수용할 수 없어 재논의를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이날 오후 제주도청 앞에선 제주마늘생산자협회 소속 마늘 농가 300여명이 집회를 열어 △벌마늘 정부·제주도 수매 △벌마늘 1㎏당 4500원 보장 △조속한 정부 수매 발표 등을 촉구하기도 했다.

도내 마늘 최대 주산지인 서귀포시 대정읍의 강성방 대정농협 조합장은 "1㎏당 3000원을 고수했지만 여의찮았다"며 "계약 물량, 비계약물량 모두 농협이 책임지고 수매하고, 손실이 발생할 경우 도에서 보전해 줘야 한다는 게 조건"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유지호 도 식품산업과장은 "농식품부가 전국적 피해 상황 등을 이유로 높은 수매가를 수용하지 않았다"며 "정책자금 대출 상환 등을 1년 정도 유예해 달라는 일부 요구도 있는데, 이 부분은 정부와 다시 논의해 보겠다"고 전했다.

마늘쪽이 나눠지는 시기였던 지난 2~3월 제주에선 잦은 강우와 높은 기온, 일조량 부족 등 이상기후가 이어지면서 마늘쪽에서 다시 싹이 돋는 2차 생장, 이른바 '벌마늘' 피해가 잇따랐다.

도 농업기술원이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이틀간 도내 벌마늘 피해 상황을 조사한 결과, 벌마늘 발생률은 57.8%(제주시 37%·서귀포시 64%)로 파악됐다.


mro1225@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