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6월 '뷰티'로 물드는 서울…19세 청년은 15만원 '문화예술패스'

문체부 '2024년 주요 정책 추진계획' 보고…국민 여가비 부담 경감
'대한민국공연축제' 등 개최로 방한 관광객 2천만명 목표…"역량 집중"

(서울=뉴스1) 김일창 기자 | 2024-02-06 19:00 송고 | 2024-02-07 10:27 최종수정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4년 문체부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6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2024년 문체부 주요 정책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오는 3월말부터 만 19세 16만명에게 공연·전시 관람비용으로 최대 15만원을 지원하는 문화예술패스가 발급된다. 6월에는 서울의 광화문과 강남·명동·성수 등을 중심으로 '코리아 뷰티페스티벌'을 개최해 방한 관광객 2000만명 달성에 나선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진행된 '2024년 문체부 주요 정책 추진계획' 기자회견에서 "2024년은 문화를 통해 국민 일상과 지역의 삶이 풍요로워지고, 문화·체육·관광 산업의 도약으로 대한민국이 세계적인 문화 강국의 입지를 드높이는 해가 될 수 있도록 모든 정책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화예술패스'는 19세 43만여명 중 16만명이 대상으로 선착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발급은 티켓 예매처들과 협업할 예정이며, 신청방법과 사용법 등 구체적인 사항은 3월 중에 안내된다.

문체부는 저소득층 통합문화이용권 지원금을 2만원 인상한 13만원으로 책정해 여가비 부담을 덜어줄 방침이다. 근로자 휴가 지원 사업으로 숙박할인권 최대 45만장을 지원하고, '여행가는 달'을 기존 연 1회에서 2회로 확대해 교통·숙박을 할인하는 등 여행 부담도 낮출 계획이다.

운동하는 국민에게 1인당 최대 5만원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인증 가능 시설과 사용처를 확대한다. 스포츠강좌이용권 지원도 확대해 저소득 유·청소년 12만명에게 월 10만원, 장애인 2만명에게 월 11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지역 간 문화 불균형 해소를 위해 400억원의 예산을 신규 책정, 지역별 맞춤형 공연·전시를 지원한다.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찾아가는 문화·예술·스포츠 사업을 확대한다.

수출 강자로 자리매김한 케이(K)-콘텐츠에 대한 지원은 더욱 강화된다. 총 1조7400억원 규모의 정책금융을 공급하고, 콘텐츠 기업이 기획·개발, 수출 단계에서도 자금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완성보증 제도를 개편한다.

'코리아 뷰티페스티벌'과 함께 10월에는 '대한민국공연축제'(가칭)를 열어 공연 분야 대표 브랜드 축제로 육성할 계획이다. 관광업계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6365억원의 융자 지원과 4000억원 규모의 관광기업 육성펀드도 조성한다.

체육 분야에서는 국민 생활체육 저변 확대와 함께 전문체육인 지원, 스포츠산업 육성으로 스포츠 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마련한다.

일상 속 스포츠활동을 위해 세계보건기구(WHO) 권장 운동 지침을 마련하고, 유아친화형(신규 3개)·시니어친화형(3개소→8개소) 국민체육센터 조성, 초등 1~2학년 정규 체육수업 확대 등 생애주기별 건강 스포츠활동 참여를 지원한다.

지정스포츠클럽(106개→131개)과 맞춤형 스포츠 프로그램(233개→360개) 지원도 확대한다.
문체부의 2024년 주요 추진 정책들.
문체부의 2024년 주요 추진 정책들.



ickim@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