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포스트 팬데믹, 회복 위한 해법 찾기…뉴스1미래포럼 2023 막 올라

김진표 국회의장·김기현 국힘 대표 등 300명 참석 성황리 개최
이주호 부총리, 요아브 니산코헨, 수미 테리 등 글로벌 리더 강연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2023-04-26 08:25 송고 | 2023-04-26 11:07 최종수정
이영섭 뉴스1 대표이사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이영섭 뉴스1 대표이사가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포스트 팬데믹 시대,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the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한 뉴스1 미래포럼(NFF) 2023이 26일 오전 8시30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300여명의 청중이 참석한 가운데 막을 올렸다.

이번 포럼은 민영 통신사 뉴스1과 국회 싱크탱크 국회미래연구원의 공동 주최로 열렸다. 포럼의 핵심 키워드는 '회복탄력성'과 '해법'이다.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충격으로 발생한 피해를 극복하고 손상된 시스템의 기능을 회복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다시 튀어오르다’라는 뜻을 지닌 라틴어 레실리오(resilio)에서 비롯된 어휘로 최근에는 단순히 피해가 발생하기 이전으로 돌아가는 게 아니라 같은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이전보다 더 나은 시스템을 만들어낸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그러나 미국과 중국간 갈등 심화 속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촉발한 신냉전 시대 도래, 반도체를 위시한 경제안보 동맹 등장과 분업화를 바탕으로 한 세계화의 퇴보, 고물가 고금리발 복합 경제위기 등 한치 앞을 내다보기 힘든 상황이다. 정치·경제·외교·사회 등 각 분야에서 팬데믹 이전과 전혀 다른 세상이 펼쳐지고 있는 것이다. 이번 포럼에선 포스트 팬데믹 시대에서 대한민국이 새로운 기회를 잡기 위해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이영섭 뉴스1 대표이사의 개회사로 시작된 이날 포럼에는 김진표 국회의장, 이주호 사회부총리,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윤홍근 BBQ 회장, 아키바 토르 주한이스라엘 대사, 김현곤 국회미래연구원장, 윤종규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이원덕 우리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이형희 SK 수펙스 커뮤니케이션 위원장(사장), 이태길 한화그룹 사장, 이원재 요즈마그룹 아시아 총괄 대표 등 각계 각층의 인사가 대거 참석했다. 이관섭 대통령실 국정기획수석은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의 축사를 대독했다.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이영섭 뉴스1 대표이사, 김진표 국회의장,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이영섭 뉴스1 대표이사, 김진표 국회의장,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미래형 교육부터 혁신강국 이스라엘의 혁신 생태계 육성 비법까지

오전에는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교육개혁, 모두를 위한 맞춤교육'을 주제로 특별강연에 나선다. 이 부총리는 회복탄력성 있는 미래사회를 위한 인재 육성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우주·항공 △바이오헬스 △첨단부품·소재 △디지털 △환경·에너지 등 5대 첨단분야의 융합인재양성을 위한 해묵은 규제 개선에 대한 생각을 공유한다.  

그다음으로는 요아브 니산코헨 이스라엘 타워세미컨덕터 창업자가 '혁신의 트렌드: 반도체에서 바이오 혁명까지'라는 제목으로 첫 기조연설자로 등장한다. 그가 창업한 반도체업체 타워세미컨덕터는 지난해 인텔에 약 6조5000억원에 인수됐다. 니산코헨 창업자는 혁신 강국 이스라엘의 스타트업 생태계 육성 방식을 공유한다. 특히 반도체 기술이 결합된 바이오 혁명 전망도 내놓는다. 니산코헨은 이스라엘 바이오 스타트업인 테라사이트도 공동 창업했으며 현재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겸하고 있다.   

김진표 국회의장이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축사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김진표 국회의장이 26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뉴스1 미래포럼 2023에서 축사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포스트 팬데믹시대 , 회복 위한 해법 찾기'(Resilience in Post-Pandemic World)를 주제로 뉴스1과 국회미래연구원이 공동 주최했다. 2023.4.26/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북핵 안보 진단, 미중 기술패권 경쟁까지

두 번째 기조연설과 세션1은 외교와 안보 현안을 다룬다. 수미 테리 윌슨센터 아시아국장은 '북핵 위협: 평가와 제안'을 주제로 이미 레드라인을 넘어선 북핵 문제를 진단하고 대응책을 제안한다. 테리 국장은 이후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와의 대담에서 북핵과 한반도 정세 전망에 관해 의견을 나누며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세션1에선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경쟁을 연구하는 지식인들이 모여 주요 전선과 복합적인 지정학 문제를 짚어본다. 김상배 서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와 최계영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선임연구위원은 발제를 통해 기술과 안보 분야에서 미중 갈등이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갈등이 어떤 양상으로 흘러갈지 전망한다. 이후 차정미 국회미래연구원 국제전략연구센터장의 사회로 대담을 진행한다.   

◇반도체와 한국 경제, 그리고 인공지능의 미래

오후 세션에서는 미래 디지털 산업의 핵심 동력, 반도체를 두고 벌어지는 전쟁을 집중 탐구한다. 김형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반도체연구소장이 반도체의 국가 전략무기화와 연구개발 전략을 이야기한다.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의 기술기획팀장인 김현우 부사장은 인공지능(AI) 시대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기술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예측해 본다.

정통 경제관료 출신인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상근부회장은 한국이 글로벌 무역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 이겨내야 할 도전과 해결해야 할 과제를 살펴보고 수출 경쟁력 제고 방안을 설명한다.

정부 경제정책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조동철 원장은 한국 경제의 미래를 전망해 보고 교육과 노동, 연금 분야에서 이뤄져야 할 개혁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마지막 세션3에선 챗GPT 등으로 연일 화제에 오르는 AI 기술을 다룬다. 장병탁 서울대 AI연구원장이 'AI와 인간의 공진화(共進化)'를 주제로 최신 AI기술의 동향을 짚어보고 도우미, 친구, 경쟁자, 동반자로서 AI 모습이 어떻게 진화할지 예상해 본다.

AI 기술의 실용화로 기업의 혁신을 설계해 온 이활석 업스테이지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챗GPT 열풍을 이끈 여러 요소들을 분석하고, 현재 이 기술의 현황과 향후 활용처에 관해 논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이야기한다.


pasta@news1.kr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