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불안해도 대중정책이 최우선"…美 외교·안보수장 인·태 총출동
브라운 신임 합참의장도 첫 순방지 인도태평양 선택
오스틴 미 국방, 아세안 회의 계기로 중국과 대화 제안
- 강민경 기자
(서울=뉴스1) 강민경 기자 =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안보 부문 수장들이 이번주 인도·태평양 지역 순방에 나선다. 점점 더 불안해지는 중동 정세 속에서도 미국의 우선 과제가 대중국 정책에 있음을 보여주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7일(현지시간) CNN방송에 따르면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 찰스 퀸턴 브라운 합동참모본부 의장이 모두 이번 주 인도·태평양 지역을 순방하며 동맹 및 파트너 국가들과 만날 예정이다.
오스틴 장관은 8일 출국해 10일간 인도·인도네시아·한국을 방문한다. 블링컨 장관 또한 10일간 이스라엘·요르단·튀르키예(터키)·한국·일본을 순방 중이며 이 과정에서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지도자를 만나기 위해 요르단강 서안지구에도 들렀다.
브라운 합참의장 또한 지난 9월 취임 이후 첫 순방지로 인도·태평양 지역을 선택했다.
두 장관은 이후 함께 인도로 가서 외교·국방장관 대화(2+2)에 임할 예정이다.
지난 수 년간 미국 관리들은 중국이 미국의 최대 경쟁 상대임을 강조해 왔다. 지난해 국가안보전략에서 중국을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 도전'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번에 미국 관리들이 수행하는 일련의 순방은 중동 정세가 불안정해진 가운데서도 미국 외교 정책의 초점은 변하지 않았다는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8월 낸시 펠로시 당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과 올해 2월 중국 정찰풍선 사태 등이 겹치면서 미중 관계는 냉각됐다. 올 여름 블링컨 장관의 방중을 비롯한 미중 고위 관리들 간 교류가 다시 시작되면서 양국 관계는 다시 누그러졌으나, 아직 미중 간 군사 소통 채널은 재개되지 않았다.
엘리 래트너 미 국방부 인도·태평양 안보 담당관은 지난 2년간 동중국해와 남중국해에서 중국 군용기가 미국 군용기를 상대로 위험한 행동을 벌인 사건이 그 이전 10년간의 사례보다 많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으로서는 이런 돌발 사태를 예방하기 위해 군 간 소통 채널을 다시 여는 게 우선 과제다.
존 아킬리노 미 인도태평양사령관은 지난달 "2년 반 동안 상대국(중국)과 대화를 요청해 왔으나, 나는 아직 그 요청 중 단 하나도 수락받지 못했다"고 토로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오스틴 장관은 오는 16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확대 국방장관회의를 계기로 미중 국방장관 회담을 열자고 중국 측에 제안했다.
하지만 상황이 여의치 않다. 그의 카운터파트인 중국 국방부장 자리가 지난달 리샹푸 전 부장의 해임으로 공석이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국방부장급의 인사라면 누구든 괜찮다는 입장이지만 중국 측이 응할지는 미지수다.
패트릭 라이더 미 국방부 대변인은 오스틴 장관이 아세안 확대 국방장관회의에서 중국 공산당 관계자를 만날 것이냐는 CNN의 질문에 "발표할 것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그래도 오스틴 장관의 인도·태평양 지역 순방 자체에 큰 의미가 있다는 게 미 국방부 측 설명이다. 한 국방부 고위 관리는 이번 순방을 "지역 안정을 강화하고 미국이 한번에 하나 이상의 지역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데 매우 중요하다"고 평가했다.
같은 의미에서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미국 동아태 차관보 또한 이번 주 기자회견에서 "국무부는 인도·태평양 지역에 명확히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장관들이 해당 지역을 방문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점을 더 강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CNN은 블링컨 장관과 오스틴 장관이 의심의 여지 없이 가자지구의 정세와 이라크와 시리아 내 미군 기지들이 공격받고 있는 상황에 계속 관여할 것이기 때문에, 이들의 이번 주 인도·태평양 순방이 일차적인 도전을 놓치지 않았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해석했다.
한편 백악관은 이달 중순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바이든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을 준비하고 있다.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은 "건설적인 회담이 될 것"이라며 "대통령이 이를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pasta@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