겪어본 트럼프 vs 새로운 해리스…중국, 누가 되든 '독'
자오밍하오 교수 "두 사람 모두 중국을 경쟁자로 간주"
누가 나은지 전망 엇갈려…"그나마 덜한 악 당선 바라야"
- 조소영 기자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오는 11월 치러질 미국 대선을 바라보는 중국의 시선이 복잡하다고 영국 경제신문 파이낸셜타임스(FT)가 분석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도 모두 중국에 우호적이지 않은 만큼 중국으로서는 '두 그릇의 독' 앞에 서 있다고 현 상황을 표현했다.
27일 FT는 '두 그릇의 독 : 중국, 트럼프와 해리스의 대통령직을 비교하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조 바이든 현직 대통령과 트럼프라는 두 명의 매파(강경파) 사이에서 쉽지 않은 선택을 해야 하는 상황에 대비하던 중국 지도자들에게, 지난달 해리스의 갑작스러운 등장은 미중 관계에 있어 이미 중요한 선거에 불확실성을 더했다"고 밝혔다.
푸탄대학교의 자오밍하오 교수는 "트럼프와 해리스는 중국에는 두 개의 독이 든 그릇"이라며 "두 사람 모두 중국을 경쟁자 또는 적으로 간주한다"고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최근 민주당 전당대회에서 가진 연설에서 중국을 딱 1번 언급하며 "21세기 경쟁에서 중국이 아닌 미국이 승리하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달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중국을 14번 언급했는데, 그의 연설 또한 "내 재임 기간 동안 중국을 견제했다"는 등 중국에 대한 비우호적 발언들이 주를 이뤘다.
중국에 두 사람에 대한 차이는 겪어봤느냐, 그렇지 않느냐다.
터프츠 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의 토마스 치통 카오 조교수는 "사람들은 트럼프에 대해 그가 당선되면 어떻게 통치할 것인지에 대해 많이 알고 있다. 반면 해리스의 경우, 여전히 미스터리가 많다"고 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부통령이 되기 전에는 중국에 가본 적이 없다. 취임 후 동아시아에 4차례 방문한 것을 포함해 17차례 해외를 방문했는데, 중국과 관련해선 2022년 태국에서 시진핑 국가주석과 잠시 만났고 지난해 자카르타에서 리창 총리와 함께 한 정도다.
이에 대부분의 중국 학자들은 해리스 부통령에 대비하려면 그의 외교적 이력을 살피는 것보다 그가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 정책 팀원들을 비롯해 중국에 대한 매파 정책에 주요한 역할을 한 다른 고위 관리들을 유지할지 그렇지 않을지를 살펴야 한다고 본다.
FT는 "해리스 팀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베이징만이 아니라 워싱턴의 전문가들조차도 그녀가 중국을 포함한 지역의 중요 직책에 누구를 선택할지 알아내기 위해 서두르고 있다"고 전했다.
일부 중국 분석가들은 해리스 부통령의 부통령 후보(러닝메이트)인 팀 월즈 미네소타주 주지사가 미중 관계 문제에 있어 더 잠재력이 더 있다고 본다.
월즈 주지사는 과거 교사 시절 중국을 방문한 적이 있고 당시 그는 중국 공산당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으나 월즈 주지사를 만난 중국인들은 그를 호의적으로 기억하고 있다.
저장국제학대학교의 외교정책전문가인 왕총은 "하지만 중국에 대해 안다고 해서 중국을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월즈 주지사는 티베트 독립운동을 하다가 중국의 탄압을 받아 해외로 망명한 달라이 라마와 만남을 가진 적도 있다.
분석가들 사이에서 해리스 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중 누가 중국에 낫느냐는 데 대한 전망은 엇갈린다. 일부 분석가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시 미국 국내 혼란을 야기하고 대외 동맹, 무역 파트너십 등을 뒤집어 중국에 이익이 될 것으로 본다.
한편에서는 이런 전망에 우려를 나타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첫 재임 때 일본, 호주, 인도와 함께 하는 안보협의체 쿼드(Quad)를 부활시켰고, 각국 고위 공무원들이 대만을 방문할 수 있도록 하는 대만 여행법을 제정했다는 점에서다. 중국에 대한 무역 적대 행위를 시작했고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을 두고 중국에 강한 적대감을 드러냈다는 것도 이유로 꼽힌다.
베이징 인민대학교의 국제관계학 교수인 시인홍은 "중국은 두 가지 악 중 그나마 덜한 악이 당선되길 바랄 수밖에 없다"면서도 "해리스는 중국 정부의 전복을 공개적이고 계획적인 목표로 삼지 않으며, 트럼프보다 정책적 예측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cho1175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