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일본의 대륙 침략 길을 닦은 국제조약 [역사&오늘]
4월 17일, 청일전쟁 전후 처리를 위한 시모노세키조약 체결
- 김정한 기자
(서울=뉴스1) 김정한 기자 = 1895년 4월 17일, 청국과 일본이 시모노세키에서 강화조약을 체결했다. 양국이 조선에서 벌인 청일전쟁의 전후 처리를 위한 조약으로, 일본이 대륙으로 세력을 확장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 준 조약이다.
19세기 후반 동아시아는 격동의 시대였다. 서양 열강의 침략과 영향력 확대 속에서 청나라는 점차 약해지고 있었다. 반면, 일본은 근대화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며 급성장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서 조선은 양국의 먹잇감 신세로 전락했다.
이런 와중에 1894년 조선에서 동학농민운동이 발발하자 조선 정부는 이를 진압하기 위해 청에 원병을 요청했고, 일본은 톈진조약을 근거로 조선에 군대를 맞파견했다. 그러자 동학농민군은 조선 정부와 화약을 맺었고, 이에 조선 정부는 청과 일본에 철수를 요구했다.
하지만 일본은 응하지 않고 조선에 친일 내각을 수립한 후 선전포고도 없이 서해에 주둔 중이던 청나라 해군을 기습 공격했다. 이렇게 시작된 청일전쟁은 당시 세간의 예상을 깨고 일본의 일방적인 승리로 끝났다. 이에 청나라는 이홍장 전권대신을 일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로 보내 강화조약을 체결하게 된다.
조약 내용은 일본의 강압과 청나라의 굴욕으로 가득했다. 청나라는 일본에 2억 냥의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또한 대만, 펑후 제도, 랴오둥반도를 일본에 할양해야 했다. 아울러 조선을 자주독립국으로 인정함으로써 일본의 조선 침략에 간섭할 수 없게 됐다.
이 조약은 4월 23일 일본의 세력 확장을 경계한 러시아·프랑스·독일의 요구로 랴오둥반도 반환이 취소됐다. 이것이 이른바 삼국간섭이다. 일본은 아직 이들에 대항할 힘이 없었으므로 랴오둥반도를 포기했다. 그 대신 3000만 냥의 추가 배상금을 받는 실리를 택했다. 하지만 일본의 국제적 위상은 한층 격상됐고, 이때 확보된 자금은 결국 훗날 조선을 식민화하고 만주까지 침략하는 군비 확장에 사용됐다.
acene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