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고먹는다"던 기동순찰대 이번엔 다를까…내년 상반기 운영

과거 112신고 대응 치중으로 폐지론 대두
거점순찰·단속위주…수요 반영 탄력근무

대구국제공항에 대한 '폭탄테러'와 공항 이용객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흉기난동'이 예고된 가운데 9일 오전 경찰이 대구공항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2023.8.9/뉴스1 ⓒ News1 공정식 기자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경찰이 치안 인력 증원을 위해 내근 인력을 빼 기동순찰대를 창설하는 승부수를 띄웠다. 하지만 같은 이름으로 존재했다가 "놀고먹는 조직"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사라진 과거 조직의 재탕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경찰은 과거 사례를 참고해 지역경찰과의 갈등 요소를 줄이는 등 개선 방안을 대거 내놨다.

1일 경찰에 따르면 내년 상반기 중 운영에 들어가는 기동순찰대는 조직 재편으로 감축된 내근 인력 2668명을 받아 97명씩 28개대로 편성된다. 서울청과 경기남부청에 각 4개대, 부산·인천·경기북부·경남청에 각 2개대, 나머지 12개 시도청에 1개대씩이 배치된다.

기동순찰대의 순찰팀은 경감급 팀장 1명과 경감 이하 팀원 6~7명으로 구성되며 유흥가, 축제·행사장 등 인파 밀집 장소에 배치돼 순찰하면서 범죄 예방 활동을 한다. 풍속사범이나 호객행위·암표매매 단속 활동도 병행한다. 피의자가 도주하거나 흉기 이용 범죄 대응, 마약 단속 등 대규모 인력이 필요할 경우 신속대응팀으로 전환해 대응한다.

기동순찰대가 처음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지난 2014년 창설한 기동순찰대는 10개대로 시작해 검거율 상승 등 성과가 나면서 2016년 50개대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지구대·파출소 등 지역경찰에서 근무하는 인력을 빼서 만든 조직인 데다 112신고 등에서 지역경찰과 업무가 겹치다 보니 갈등이 빈번했다. 취약지 집중순찰, 강력·광역 범죄 대응이라는 본래의 기능에는 소홀하고 112신고 출동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국 "기동대는 놀고먹는다"는 인식이 경찰 내부에서 팽배해졌고 폐지론이 제기되면서 사실상 사라지게 됐다.

이에 경찰청은 과거 실패 사례를 참고해 기동순찰대를 경찰서가 아닌 시도청 산하에 두고 112신고는 지역경찰이 우선 처리하는 것을 원칙으로 삼았다. 출동할 수 있는 차량이 없을 때만 시도청 112상황실 판단하에 112 신고지로 보내기로 계획을 세웠다.

또한 체포한 피의자를 처리할 때도 관할 경찰서 수사부서에 인계하도록 개선해 지역경찰과 갈등 요소를 줄였다.

과거 경감급이 맡았던 기동대장은 경정급으로 격상했다. 4조3교대로 근무하면서 심야에는 조직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점도 치안 수요가 많을 때 순찰인력을 집중 배치하는 탄력 근무를 통해 개선한다. 범죄예방에 주력하는 1조는 오전 7시~오후 7시에 일하고 범죄 대응을 맡는 2조는 오후 1~10시 근무하는 식이다.

경찰은 10일까지 시도청별 기동순찰대 운영 계획을 받을 계획이다. 경찰 관계자는 "현장 의견수렴을 통해 선발·구성 및 장비·사무공간·차량 등 세부 지원 방안을 포함한 '기동순찰대 운영 표준안'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songs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