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체포영장 시한 만료일…종일 어수선한 한남동 관저 주변

공수처, 경찰에 집행 위임에 보수 참가자 "우리가 이겼다" 자축 분위기
"공수처 지금까지 뭐 했냐, 우리 분노 보여주자"…주말까지 대립 계속

윤석열 대통령의 체포영장 유효기간 마지막 날인 6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체포 구속 긴급행동'에서 민주노총, 진보당 등 진보단체를 비롯한 시민들이 텐트에서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및 구속을 촉구하고 있다. 2025.1.6/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

(서울=뉴스1) 홍유진 유수연 김민재 기자 = 윤석열 대통령 체포 시한 만료일인 6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인근은 윤 대통령 체포를 촉구·반대하는 집회 참가자들로 늦은 시간까지 북적였다.

공수처가 체포영장 기간 연장을 신청하기로 하면서 이날 당장 영장을 재집행할 가능성은 작아졌지만, 관저 앞은 양측 진영 간의 대치로 인해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탄핵·체포 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태극기와 성조기를 들고 '윤석열 잘한다', '탄핵 무효', '윤석열을 지키자'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 중 일부는 체포영장이 1차 집행됐던 지난 3일부터 한남동에서 며칠 밤을 새우며 자리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 대통령 지지자들은 공수처가 체포영장 집행을 경찰에 일임했다는 소식에 "우리가 이겼다"며 자축하는 분위기였다.

집회 사회자는 "내일부터는 헌법재판소 앞으로 가서 강력한 투쟁을 할 것"이라며 "한 번 이겼으니 두 번 이겨야 하지 않겠나"고 참가자들을 독려했다. 또 "공수처 완전히 끝났다고 한다. 이제 체포영장 못 들고 온다"고 말하자 참가자들이 일제히 환호하며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앞서 이날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는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경찰에 일임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가, 경찰이 '위법 소지가 있다'고 반박하자 위임을 철회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법률대리인인 유승수 변호사도 집회에 참석해 참가자들을 독려했다.

유 변호사는 "조금 전 장관님 접견을 마치고 와 장관님 메시지를 그대로 낭독하겠다"며 "폭설과 혹한에도 불구하고 구국의 일념으로 투쟁해 주신 애국 국민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헌법재판소 재판관들이 의회 독재에 굴복하지 않도록 저와 함께 끝까지 싸워 주시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불과 200여m 옆에서는 대통령 탄핵·체포를 촉구하는 집회가 열렸다. '윤석열 즉각 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은 이날 오후 2시부터 체포 촉구 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내란수괴 윤석열을 즉각 체포하라, '수사 거부 윤석열을 즉각 체포하라', '경호처도 공범이다. 즉각 체포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이날 비상행동 집회에는 주최 측 추산 1만 5000명, 경찰 비공식 추산 3500명이 참석했다.

김은정 기후위기비상행동 공동운영위원장은 "체포영장 집행을 경찰에 넘기겠다고 해서 오늘 기대했던 대로 윤 대통령이 체포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결국 불발되고 말았다"며 "공수처가 눈치 보고 머뭇거리는 바람에 시간이 지체됐다"고 비판했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3박4일간 투쟁하는 동안에 공수처는 도대체 무엇을 했느냐. 체포영장 발부된 일주일의 시간 동안 무엇을 했느냐"며 "5시간의 알량한 쇼를 하고 포기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토요일 다시 한번 광화문에서 우리 시민들의 분노를 보여주자"고 소리쳤다.

양측 진영 간 시비가 붙어 경찰이 제지하기도 했다. 한 보수집회 참가자가 "간첩이야. 짱꼴라(중국인 비하 발언) 왔어"라고 소리치자 한 시민은 "나라가 어떻게 돼 가는데"라고 맞받아치며 분노했다.

몸싸움이 벌어져 순찰차가 출동하는 소동도 벌어졌다. 보수 집회 참가자가 욕설을 내뱉으며 실랑이가 시작됐고, 이를 말리던 노년 여성이 싸움에 휘말려 넘어졌다. 탄핵·체포 찬성 집회 도중 '예수 믿고 천국 갑시다'라는 글씨가 붙은 차량이 지나가면서 "이러면 지옥 간다"는 방송을 틀자 흥분한 참가자들이 피켓으로 차량을 내리치는 상황이 벌어졌다.

한편 공조본은 이날 체포영장 집행 기간 연장을 위해 법원에 영장을 재청구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관저 앞 체포 찬반 세력 간 갈등 상황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cym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