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데이터 행정' 점수 28% 상승…중앙·'지방' 편차 30점

2023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평가…전년比 12.4점 상승
중앙기관 평균 90.7점…기초지자체·지방공기업 60점 미만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행정안전부 제공)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공공기관의 전반적인 데이터기반행정 수준이 1년간 큰 폭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기관간 편차는 되려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행정안전부는 14일 중앙행정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464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2023년 데이터기반행정 실태점검 및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행안부는 데이터기반행정 조기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2021년부터 매년 평가를 실시해오고 있다.

이번 실태점검에서는 데이터기반행정 관리체계, 공동활용, 분석활용, 역량문화 4개 분야를 점검했다.

데이터 관련 업무경험을 갖춘 민간전문가(19명)로 구성된 실태점검단이 각 기관의 데이터 공동활용 현황과 성과 등 데이터기반행정 운영 수준을 면밀히 분석했다.

행안부에 따르면 대다수 공공기관에서 정책수립에 데이터를 활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는 등 데이터기반행정 문화가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관 유형별 데이터기반행정 운영 수준 편차는 지난해 대비 오히려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것이 행안부 설명이다. 행안부는 미흡 기관에 대한 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실태점검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 점검체계 개편에 착수할 계획이다.

전 기관 합산 평균점수가 2022년 45점에서 12.4점(28%) 상승한 57.4점을 기록했다.

기관 유형별로 중앙행정기관은 평균 90.7점으로 부·처·청·위원회 모두 높은 점수를 획득해 데이터기반행정 제도가 정착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공동활용을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와 적극적인 공동활용 데이터 등록이 평균점수를 높였다.

광역자치단체는 평균 79.9점이었다. 데이터 분석 분야의 점수가 대폭 향상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 수립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초자치단체와 지방공기업은 평균 60점 미만으로 미흡 등급을 기록했다.

분야별로는 공동활용·역량문화 분야에서 점수가 큰 폭으로 향상됐으나 분석 데이터의 실제 행정업무 활용은 아직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방안을 도출해 '제2차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 기본계획'(2024~2026년)에 맞춰 추진할 계획이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데이터기반행정은 국민의 삶을 보다 나은 방향으로 이끄는 핵심 역량"이라며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으로 디지털플랫폼정부 완성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