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안건은 부정적"…인공지능이 회의 참석자 반응 수치로 보여줘

미국 인공지능(AI) 회사 오픈AI가 개발한 AI 채팅로봇 '챗GPT' ⓒ 로이터=뉴스1 ⓒ News1

(서울=뉴스1) 박우영 기자 = 정부가 부처 회의 내용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통계화하는 등 공공업무에 인공지능을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3일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행안부는 지난달 '인공지능(AI)기반 업무지원 서비스'를 시작했다.

인공지능 업무 서비스는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회의 내용과 분위기를 통계 수치로 보여주는 '자동회의록' △언론에서의 이슈별 언급 빈도와 추이를 분석하는 '미래신호 분석서비스' △서비스 체계의 공공기관 보급 확대 3가지 내용을 골자로 한다.

우선 자동회의록 서비스가 도입되면 인공지능이 회의 가운데 나온 긍정/부정 반응을 수치로 보여준다. 특정 안건이나 제안에 대한 반응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또 회의에서 어떤 말이 자주 언급됐는지도 순위표와 워드클라우드 형태로 직관적으로 표현된다.

회의 참여자별로도 자주 언급한 단어와 긍정어/부정어 비율 등을 분석해 나타낸다.

행안부 관계자는 "회의록 자체는 글자가 너무 많아 회의 때 어떤 이야기가 나왔고 반응이 어땠는지 유의미하게 나타내준다고 보기 어렵다"며 "자동회의록 서비스는 회의 내용에 대한 반응을 수치로 보여주는 만큼 앞으로 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미래신호 분석 서비스는 언론에서 새로 언급되는 이슈·주제와 언급량 추이 등을 분석해 알려준다.

행안부 관계자는 "현안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향후 언급량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되는 주제는 공공기관이 더욱 관심을 갖고 대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행안부는 또한 이같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기반 시설을 공공 기관 등에 보급한다.

행안부 관계자는 "현재 약 10곳의 기관이 여건을 갖추고 있는데 내년 3월까지 50여곳으로 늘리는 등 인공지능 서비스 기반을 확장하겠다"며 "우리의 궁극적 서비스 대상은 중앙부처, 지자체, 공공기관까지 900개 정도 기관"이라고 말했다.

지자체 가운데 '맏형' 격인 서울시도 지난달 최초로 인공지능 전담 조직인 '인공지능행정팀'을 신설하고 현재 팀장을 공모중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아직 인공지능행정팀의 주요 업무 영역을 정해놓지 않았다"며 "부서간 구획에 갇히기보다 인공지능 적용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분야 어디든 인공지능을 적용해본다는 마음으로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고 말했다.

alicemunr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