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비상 아닌 일상으로…확진자 증가세 숙제로 남았다

자율방역 중요성 더욱 커져…2만명대 확진 불씨 남아
"아프면 쉴 수 있는 문화 정착…미지의 감염병 대비도"

9일 서울 중구 서울역광장 임시선별검사소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3.5.9/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지난 2020년 1월 20일 국내 첫 확진자 발생 3년 4개월 만인 11일 정부가 '코로나19 비상사태의 종식'을 선언했다. 이제 코로나19를 비상이 아닌 일상에서 받아들여 관리하자는 의미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이달 5일 코로나19에 대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 해제를 결정한 데 이어 일본은 8일, 미국은 이날(11일)부터 자국 내 비상사태를 종료했다.

세계 각국이 비상 대응할 필요까지 없다는 WHO의 판단, 고강도 방역에 따른 경제·사회적 부담을 고려할 때 정부의 이번 종식 선언은 시의적절한 수순이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이제 더 이상 3년간의 광범위한 조치가 필요한 감염병이 아닌 일상적으로 감수할 수 있을 정도의 질환이 됐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확진자 격리 의무는 사라지고 동네 병의원과 약국 안에서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된다.

해외 입국자에 대한 입국 후 3일 이내 유전자증폭(PCR) 검사 권고도 사라지고 임시 선별검사소는 운영을 중단한다. 매일 발표되던 코로나19 발생 집계도 주 단위로 이뤄진다.

국무총리가 본부장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가 해체돼 보건복지부 장관이 본부장인 중앙사고수습본부 체제로 축소 운영된다.

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2022.7.29/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

팬데믹에 따라 비상 운영되던 의료체계도 일상으로 돌아간다. 다만 검사나 입원 치료비, 생활지원비 지원은 유지된다.

따라서 자율방역의 중요성은 커졌다. 타인을 배려해 마스크를 쓰거나 아프면 쉴 수 있는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

유행세가 꺾이기는 했지만, 여전히 독감보다 전파력이 강하고 치명률도 높다. 전날(10일) 0시 기준 확진자는 2만3521명으로 올 1월 28일(2만3591명) 이후 102일 만에 가장 많이 나왔다.

80세 이상의 누적 코로나19 치명률도 1.91%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감염 고위험군·취약 시설 보호와 아프면 쉴 권리 장착이 시급하다.

정재훈 교수는 "이제 자신의 건강에 대해 개인이 더 큰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더 이상 코로나19가 위험하지 않다거나 피해가 없어진다는 의미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일상 회복을 시행한 뒤 코로나19 확진자들이 제대로 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강력한 권고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백순영 가톨릭대 의대 명예교수 역시 "사회적으로 아픈 사람이 편히 쉴 수 있게 분위기를 마련해 주는 게 가장 중요한 때가 왔다. 통념을 깨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질병관리청은 일상 회복의 연착륙을 위해 저소득 자영업자나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 별도 지원책에 대해 "관계부처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질병청은 이달 4일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 공청회'에서 감염병 치료로 인한 소득 공백을 막기 위해 상병수당을 제도화하고, 병가나 질병 휴직 등 제도적 지원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밖에 비상에서 벗어나는 것만큼 중요한 것은 또 출현할 변이 바이러스, 완전히 새로운 미지의 감염병에 대비해야 하는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강조했다.

백 교수는 "감염병 발생 주기는 점차 짧아질 것이다. 평소에 관찰하고 새 환자 발생에 초기 대응이 늦어지지 않는다면 세계적 팬데믹은 막을 수 있다. 평상시에 준비하고 연구도 해야 한다"고 말했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