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서비스 개인 맞춤형으로"…'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추진

대상자별 필요 서비스 파악 뒤 선제적 안내

'디지털 플랫폼 서울' 비전 및 서비스 체계. (서울시 제공)

(서울=뉴스1) 윤다정 기자 = 서울시가 실시하는 다양한 정책 지원의 대상이 될 경우 맞춤형 자동 안내와 신청까지 가능해지는 디지털 행정 체계가 마련된다.

서울시는 각 분야별로 산재된 행정정보를 연결하는 통합관리체계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 플랫폼 서울'은 축적된 행정·민간데이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더해 대상자별로 필요한 공공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선제적으로 안내한다.

분야별, 기관 간 데이터 연계를 통해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서류를 최소화할 수 있어 무(無)방문·무(無)서류 민원처리도 가능해진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올해 3월부터 자체 실무협의(TF)팀을 구성, 6차 회의와 7차례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 방향, 선결과제 및 고려사항, 기술 동향, 서비스 대상·범위, 중앙정부 추진현황 등을 논의했다.

주요 서비스는 △한 곳에서 서울의 모든 정보를 통합 제공하고 △한 곳에서 모든 민원·공공서비스를 해결하며 △한 곳에서 나에게 맞는 서비스를 알아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시민이 원하는 모든 공공정보와 서비스를 위해 분야별 행정정보를 연계하고, AI 기반으로 개인 맞춤형 검색 서비스를 구현한다. 맞춤정보를 지도기반으로 표출하고 시각·음성 검색도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또한 기관 간 서류 데이터 연계, 비대면자격확인 및 개인맞춤형정보 등 디지털 전환으로 서비스 신청에 필요한 구비서류를 최소화한다. 여기에 카카오톡 기반 서울시 대표 채팅로봇 '서울톡'으로 안내·상담 및 신청, 결과를 시민에게 제공해 시민 정보 접근성을 확보한다.

아울러 민간 및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민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먼저 파악하고, 서울시의 모든 보조금과 공공서비스를 시가 알아서 신청 가능 서비스의 알람을 발송하고 신청할 수 있도록 챙겨주는 맞춤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선 내년부터 청년정책 관련 통합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청년몽땅정보통'에 시범 적용된다. 서울시는 청년 등 특화분야에 우선적으로 적용하고 교육, 복지, 교통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위한 정보화 전략계획(ISP)을 수립한다. 현행 시스템을 분석하고 서비스(안) 설계와 단계별 이행계획, 중장기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사업예산은 2022년 추경예산으로 확보해 다음달부터 6개월간 추진할 예정이다.

다만 중앙정부와의 데이터 공유, 데이터 표준화 및 개인정보 수집·활용을 위한 법 개선 등에 기간이 소요되는 만큼 정부의 '디지털플랫폼정부 단계적 이행안'과 연계해 협력체계를 유지하면서 점진적으로 추진해나갈 방침이다.

이혜경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디지털 플랫폼 서울 구축을 위한 선결과제가 다수 존재하지만 청년 등 서울시가 우선적으로 추진 가능한 특화 분야부터 개인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우선 발굴해서 시민들에게 제공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시의 다양한 분야의 행정정보를 통합해 시민 여러분이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 개발 및 지원 구조를 마련, 디지털 플랫폼 서울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mau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