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중장년, 절반은 노후 준비 안돼…예상 은퇴 연령 67.6세
노후준비지수 55.67점…전국 평균보다 단 1.05점 높아
서울시50플러스재단 중장년 노후준비 정책토론회 개최
- 정연주 기자
(서울=뉴스1) 정연주 기자 =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중장년층의 절반이 노후 생활비를 준비하지 못한 것으로 23일 조사됐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따르면, 서울시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지수는 55.67점(100점 기준)으로 전국 54.62점 대비 1.05점 높지만 노후 준비가 여전히 부족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중장년층이 스스로 예상하는 은퇴 연령은 평균 67.61세로 전국 평균(66.67세)보다 0.94세 늦다.
노후 생활비 준비 여부에 대해서는 서울시 중장년층 50.73%가 준비했다고 응답했다. 그중 프리랜서와 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의 노후 생활비 준비 여부는 각각 44.71%, 42.31%로 더 낮았다.
근로 형태에 따른 준비도도 달랐다. 재무적 노후 준비도는 소상공인이 가장 높았고, 비재무적 노후 준비는 상용직 임금근로자가 가장 양호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재무적 노후준비도가 가장 높았다. 이는 노후에 필요한 자금(3억4000만원대)이 가장 적기 때문으로 보인다. 반면 비재무적 노후준비는 다른 집단에 비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강이나 사회참여활동 관련 노후준비지수가 좋지 않았다.
상용직 임금근로자는 은퇴시점 노후준비 자금 추정액이 7억6103만9000원으로 가장 많은 자금을 마련하는 등 재무적 노후준비가 상대적으로 양호했다. 단 준비부족형(31.8%)과 균형준비형(29.6%)이 비슷하게 나타나 상용직 임금근로자 사이에서도 직업별로 노후준비가 양극화했다.
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는 노후 필요 자금(4억1804만3000원) 대비 준비 자금 추정액(3억9494만만2000원)이 낮아 재무적 노후준비가 가장 취약한 집단으로 드러났다. 비재무적 노후 준비도 미흡한 편으로 사회적 관계가 가장 취약했다.
프리랜서도 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 다음으로 재무적 노후준비가 취약했다. 준비부족형(36.4%)과 재무취약형(27.3%)이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소득이 일정하지 않은 프리랜서는 심각한 노후준비 부족 상태를 겪고 있었다. 비재무적 노후준비의 경우 건강 수준은 높았으나 사회적 관계 관련 준비에는 취약했다.
50플러스재단은 중장년 노후준비 관련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중장년 정책의 실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3일 한국정책학회와 공동으로 '2022년 50+정책토론회'를 개최한다.
재단은 현재 노후준비서비스가 주로 임금근로자 중심으로 설계돼 있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프리랜서 등 근로형태별로 세분화해 노후준비 현황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준비방법을 제안한다.
퇴직 후에도 노후생활비를 마련하기 위해 근로활동을 지속해야 하는 임시직·일용직 임금근로자의 경우 노후준비지원기관을 활용해 일과 사회적 관계를 동시에 충족해야 하는 만큼 유연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에게는 다양한 사회공헌활동이나 일과 연계된 평생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프리랜서에 대해선 제2의 직장을 탐색하는 구조보다 경력 전환과 1인 창업 또는 창작을 제안하고 사회적 소속감을 형성할 기회가 필요하다고 봤다.
황윤주 서울시50플러스재단 정책연구팀장은 "이번 토론회는 서울시 중장년층 노후준비 관련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실질적 정책 방향을 함께 모색하기 위해 마련했다"며 "다양한 연구와 논의를 토대로 중장년층이 노후 준비를 위해 실제로 필요로 하는 정책과 서비스를 더욱 확대해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jy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