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방역 대신 표적방역…노인 위중증·치명률 관리 시험대 올랐다

정부 과학방역 용어 대신 표적방역 강조, 치명률 관리하겠단 뜻
취약계층 방역 강화 포석, 독거노인 재택 모니터링 등 강화

서울의 한 노인요양센터를 찾은 면회객들이 입원 중인 가족을 만나 대화하고 있다./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서울=뉴스1) 음상준 기자 = 윤석열 정부가 추진 중인 표적방역 성패는 만 60세 이상 고령층 위중증 및 사망자 관리에 달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노19) 노인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규모를 줄여야 정부가 내세우는 표적방역이 성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방역당국은 전문가 유행 예측을 토대로 8월 중 일평균 20만명 전후, 위중증 환자 9월 초 최대 800~900명, 사망은 하루 최대 100~140명 발생을 예상했다. 그중 위중증 및 사망자 대부분이 고령층인 만큼 정부 예측치보다 적은 규모로 유행을 관리하는 게 급선무다.

20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 4명 중 1명은 고령층이지만, 전체 위중증 환자 중 노인 비율은 무려 87%에 달한다. 노인 감염자 상당수가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에서 발생하는 만큼 노인들이 거주하는 감염취약시설 관리가 일명 표적방역 성패를 좌우할 수밖에 없다.

당초 정부는 과학방역을 전면에 내세웠지만, 최근 들어 표적방역으로 정책 방향을 수정했다. 표적방역은 '과학방역'처럼 사회적 거리두기 없는 '자율방역'을 강조해 온 방역당국 기조를 조금 더 구체화한 개념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데이터를 토대로 방역 관리가 필요한 고위험군을 뽑고 의료자원을 쏟아붓는 일종의 핀셋방역에 가깝다. 거리두기를 제외하면 기존 방역정책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이지만, 방대한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정책 효율성이 높다는 게 정부 입장이다.

정기석 중대본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표적방역에 대해 "전국 기저질환자를 모두 데이터화해 그들에게 일일이 안내하고 표적화된 방역을 하겠다"며 "앞으로 계속 나오거나 만들어 낼 데이터를 통해 필요한 곳에 타깃 방역을 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단장은 4차 백신 접종을 50대로 확대한 것도 사례로 들었다. 정 단장은 "자료를 보면 50대의 코로나19 사망률 0.04%로 그리 높아 보이지 않지만 40대 코로나19 사망률은 0.01%로 4분의 1밖에 되지 않는다"며 "40대와 50대 사이에 큰 차이가 나니 50대도 '타깃 범위'에 들어가게 해 4차 접종을 권하는 게 표적방역"이라고 말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 1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진행한 대통령 업무보고에도 '정말한 표적방역'을 추진하는 내용이 담겼다.

복지부는 '표적화된 거리두기'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집단발병 가능성이 높은 감염취약시설을 대상으로 면회 제한, 외출·외박 금지 등을 실시하는 내용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또 고위험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선제검사를 진행하고 신속한 치료를 제공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정부가 최근 코로나19에 감염된 독거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재택치료 초기에 2~3회 전화로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방안을 내놓은 것도 표적방역의 일환이다.

정부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욕지표는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 규모, 치명률이다. 결과적으로 노인 관리에 표적방역이 달린 셈이다. 20일 기준 위중증 환자 511명 중 80세 이상이 235명(45.99%)로 가장 비율이 높았다. 이어 70대 120명(23.48%), 60대 88명(17.22%)로 만 60세 이상 고령층 비율이 86.69%를 차지했다.

최근 2주일간(8월 7일~20일) 사망자는 '27→29→40→50→59→58→67→57→50→37→42→61→83→84명' 흐름을 보였다. 같은 기간 중증 환자 추이는 '297→324→364→402→418→453→469→512→521→563→469→470→492→511명' 순으로 변화했다.

신상엽 KMI한국의학연구소 상임연구위원은 "위중증 및 사망 피해를 최대한 줄이려면 의료체계를 잘 구축해야 한다"며 "다소 느슨해진 긴장감을 높이고 방역수칙을 잘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