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기후 대응은…개인 참여 확대부터 기업 '체질 개선'까지

전과정평가학회 공동선정 이슈…K-순환경제 이행 계획
협력사 온실가스 배출 관리도 도마 위에…고품질 재사용 '눈길'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기후 헌법소원에 한 환경단체 회원이 아기와 함께 참석하고 있다. 2024.5.21/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올해 기후 대응·에너지 전환 부문의 화두는 '참여'와 '전환'이었다. 각 개인의 탄소저감이 교통수단 변화나 다회용품 사용, 탄소배출권 구매 등으로 확대했고, 각 기업은 유럽연합의 '탄소장벽'(CBAM)에 대응하며 '체질 개선'에 힘을 쏟았다.

한국전과정평가학회는 30일 올해의 기후·에너지 주요 이슈를 전과정평가, 소재산업, 자동차·전자, 순환경제, 수소·신재생 연료 분야로 나눠 평가했다.

먼저 전과정평가(LCA) 분야에서는 '탄소중립 개별 실천'이 핵심이었으며 개인이나 기업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이 일상 속으로 퍼지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 중인 '기후동행카드'나 개인의 다회용 사용 확대, 개인과 민간 차원의 탄소배출권 구매가 확대된 것이다.

정부는 탄소중립 실천 포인트 제도를 통해 일상에서 친환경 소비를 실천하는 소비자에 대한 보상 체계로 마련했다.

김완섭 환경부 장관이 서울 은평구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하고 있다. (환경부 제공) 2024.8.26/뉴스1

완성차 업체나 글로벌 전자 회사들이 협력사와 부품사에도 탄소 정보를 요구하게 되면서 'LCA'가 사실상 의무화됐다. 예를 들어 전기차나 부품을 만들 때, 그 과정에서 뿜어져 나오는 온실가스를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감축 방안을 찾지 않으면 대형 거래처와의 계약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단순히 공장에서 바로 뿜어내는 스코프 1·2 배출량뿐만 아니라 협력사(스코프3)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까지 살피도록 분위기가 조성됐다.

순환경제 분야에서는 정부가 내놓은 K-순환경제 이행 계획이 주목받았다.

이전까지는 재활용이나 폐기물 감량 노력을 개인 차원에서만 진행해 온 경우가 많았는데, 이제는 정부가 투명 페트병 분리수거 체계를 확대하고 음식 배달 그릇을 여러 번 재사용하는 사업도 지원하면서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공공이나 민간 선별시설을 개선해 좀 더 고품질의 재생원료를 만들어내고, 플라스틱을 녹여 얻은 열분해유를 석유 대신 쓰는 방안도 확산할 것으로 보인다.

소재산업 분야에서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대응하는 기업의 노력이 주목받았다. 철강이나 알루미늄같이 공정 과정에서 많은 에너지를 쓰는 제품이 우선 규제 대상에 포함됐는데, 이 범위가 사실상 산업 전 분야로 확대될 수 있어서 규제 수위에 관심이 쏠리는 상태다.

마지막으로 수소·신재생 연료 분야는 실험실 단계부터 연료 생산, 운송, 사용까지 탄소를 줄이려는 시도가 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제로 꼽혔다.

이를테면 친환경 수소인 '그린수소'를 만들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전기까지 신재생에너지를 써야 하는데, 연구개발 단계에서부터 전과정평가를 수행하면 상용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 이미 유럽연합 등 해외에서는 연구개발 과제에서 LCA 자료를 필수로 제출하도록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전과정평가학회는 1997년에 창립됐고, 탄소중립·순환경제 부문의 연구·사업화를 주도하고 있다. 현재 회원 600명가량이 활동 중이며, 이번 의제에는 임원 등 산학연 전문가 60명이 참여했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