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기후 AI' 도입해야…그린에너지 전환 인센티브 필요"

탄녹위·과기부, 인공지능 기반 그린디짙러 전환 컨퍼런스 개최
네이버 "전용 반도체 연구"…김상협 "망 관리·수요예측에 활용"

김상협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민간위원장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기후변화에 따라 추진 중인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달성을 위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기후·녹색 스타트업 등 산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9일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 열린 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 컨퍼런스(콘퍼런스)에서 이용훈 울산과학기술원 총장과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이노베이션센터장은 "AI 서비스와 스타트업, 기존 산업 간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콘퍼런스는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와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개최했다.

이 총장은 "정부에서 2027년까지 2000억 원을 투자하겠다고 하는데, 무인실험실 등 산업자동화와 소각로 공정 개선, 선박 내 이산화탄소 포집 등 여러 산업에서 녹색성장을 하기엔 부족하다"며 "탄소중립 제조 공정 실증화를 위한 플랜트 지원과 원천 설계 기술 확보를 위한 정부 지원을 강화해달라"고 밝혔다.

이어 "고효율 저전력 에너지로 생성형 AI서비스를 위한 전용 반도체 기술을 만들기 위한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아울러 그린에너지 전환 달성에 인센티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엄지용 한국과학기술원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장은 "탄소중립을 한 세대 안에서 실현하기 위해 '기후 AI'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지속가능 금융 투입이 필요한데, 정부가 방향을 잘 설정해달라"고 요청했다.

김상협 탄녹위 민간위원장은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AI가 전력망 관리, 수요예측 및 관리, 소비자 편익과 행태변화 등 탄소중립 에너지 설루션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했다.

예를 들어 가전기기에 스마트에너지 AI를 탑재해 실시간 에너지 사용량을 관리하고, 그린 AI를 스마트폰에 탑재해 트래픽을 예측하고, 소모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치정보를 활용해 특정 지역의 대중교통 정보를 분석, 탄소감축 교통정책 수립을 지원할 수도 있다.

정부는 이날 콘퍼런스에서 나온 주요 의견을 토대로AI 기반 그린디지털 전환을 위한 기술개발 및 전 산업적 확산, 규제 대응을 위해 범부처 디지털 탄소중립 총괄협의체에서 후속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