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100조원 수출 목표 세웠지만 녹색 스타트업 육성 '미미'

기후테크 스타트업 4.9%, 362개 불과
"규제에 기후테크 진입 난항…그린ODA 연계 필요성도"

환경부는 지난해 녹색산업 협의체(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고 정부와 기업, 수출금융기관이 긴밀히 소통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녹색산업 기업의 해외 진출 여건에 맞춰 다각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서울=뉴스1) 황덕현 기후환경전문기자 = 환경부가 윤석열 정부 임기 내 '녹색산업 100조원 수출 지원' 목표를 세웠지만 '환경 유니콘' 육성은 아직 걸음마 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 스타트업 중 특히 기후테크 기업 육성을 위해서는 규제 완화를 통해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고려대학교 미래성장연구원이 최근 발간한 '탄소중립 시대의 국내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정책'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R&D 투자를 줄이는 과정에서 기후테크 관련 투자를 40%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정부의 투자여력 축소와 함께 에너지 가격을 규제하는 국내 상황과 에너지 시장의 공기업 중심 구성 등 에너지 산업 분야의 경직된 산업구조가 기후테크 스타트업의 투자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한다고 했다.

미래성장연구원은 기후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이호무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후정책연구본부장은 "대학이나 소규모 커뮤니티 등에 '리빙 랩'을 설치하거나, 지역별로 일종의 특구를 여럿 조성해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고 했다.

리빙 랩은 현장중심의 연구방법으로 일상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인데, 국내에는 경기 하남시 주민사업 '하남 e스스로'와 행정안전부의 '국민해결 2018' 사업 등이 있다.

또 싹을 틔운 기업의 경우 해외 시장에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 본부장은 "녹색 공적개발원조(ODA) 등에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연계해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한 신흥 개발국(이머징 마켓) 진출을 촉진하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지적은 앞서 관련 업계에서도 나왔다. 삼정KPMG는 지난해 말 '기후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 방안’을 통해 해외와 비교한 국내 기후테크 스타트업의 한계점을 짚었다.

환경부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자산운용사와 함께 3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환경 스타트업을 지원을 추진했으나 초기투자 기업은 18.4%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기후테크 스타트업은 전체 스타트업 중 4.9%·362개에 불과하며, 기후테크 스타트업 등 초기 녹색기업에 대한 지원은 2030년까지 녹색산업 분야에서 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유니콘'을 기르겠다는 계획과는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녹색 공적개발원조(ODA) 등에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연계해 상대적으로 경쟁이 덜한 신흥 개발국(이머징 마켓) 진출을 촉진하는 것도 효과적"이라고 제언했다.

한편 환경부는 1월말 윤석열 대통령에게 2024년도 업무보고를 하면서 올해 녹색산업 수출 계획을 추진할 계획이다. 환경부 업무보고는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형식이 아닌 대면 보고로 진행될 것으로 전해졌다.

환경부는 지난해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2023년을 '녹색산업 수출 원년'으로 삼고, 2027년까지 누적 100조원 수출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이는 윤 대통령이 2022년 수출전략회의에서 전 부처의 수출지원 강화를 지시하면서 추진됐다.

ac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