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교육감 5인 회동 "직선제 폐지는 어불성설"

서울서 상견례 겸 기자회견…"공교육 혁신 새 시대 열겠다"
"세월호 시국선언 교사징계, 사법적 판단 날 때까지 미뤄야"

(서울=뉴스1) 안준영 기자 = 6·4 지방선거에서 당선된 5개 시·도 진보 교육감들이 1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공식 상견례 및 기자회견을 마친 후 인사하고 있다. / 뉴스1 © News1 이동원 기자

</figure>진보교육감 당선인들은 최근 보수교육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교육감 직선제 폐지 논란에 대해 "축구경기에서 지니까 앞으로 경기하지 말라는 식"이라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세월호 참사에 관한 시국선언을 한 교사에 대한 교육부의 징계 추진에 대해서는 "행정적인 조치는 사법적 판단이 날 때 까지 미뤄야 한다"고 밝혔다.

조희연(서울), 이청연(인천), 장휘국(광주), 민병희(강원), 김병우(충북) 등 6·4 지방선거에서 선출된 진보 교육감 당선인 5명이 12일 한자리에 모였다.

이들은 이날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상견례를 가진 뒤 기자회견을 통해 교육정책에 관한 견해를 제시했다.

이날 회동은 재선인 장휘국 당선인의 제안으로 마련됐다. 17명 시·도 교육감 전원을 초청했지만 개인 사정 등으로 보수 성향의 교육감 4명(대전·경북·대구·울산) 및 8명의 진보 교육감은 참석하지 못했다.

기존 보수 교육감과의 정책 충돌 문제를 묻는 질문에 조희연 서울교육감 당선인은 "교육 행정은 70% 정도가 비슷하다는게 개인적인 견해"라며 "자유학기제나 진로체험학습 확대 같은 문용린 교육감의 좋은 정책들은 과감히 수용하겠다"고 답했다.

'뜨거운 감자'인 자율형사립고에 대한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이청연 인천교육감 당선인은 "급격한 변화가 필요치는 않으나 설립목적이나 재지정 목적에 맞지 않을 경우 일반고로 전환해야 한다"며 "자사고는 공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는 모델이 아니기에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민병희 강원교육감 당선인은 "2010년 선거에서 6명의 진보교육감이 당선됐을 때도 난리가 났지만 결과적으로 학부모들의 호응을 받았다"면서 "4년 전에 우리의 실험은 이미 끝났다. 잘 지켜봐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우리 보고 '멈춰라' 하지 말고 교육부와 청와대에 '변화하라'고 주문해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수학능력시험을 없애고 국·공립대 통합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대입제도 개선 공약의 실효성을 묻는 질문에 장휘국 광주교육감 당선인은 "대입제도와 관련해 실질적으로 교육감이 갖고 있는 권한은 없다"면서도 "방향을 제시하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것으로 향후 정부, 교육부와 구체적으로 협의를 하겠다"고 밝혔다.

조희연 서울교육감 당선인도 "교육감은 초·중등 교육을 관장하는데 현행 대입 제도가 변화하지 않으면 안된다"면서 "공통공약은 큰 틀에서 방향을 제시한 것일 뿐 구체적인 안은 확정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최근 보수교육계 일각에서 제기되는 교육감 직선제 폐지 움직임에 대해 장휘국 광주교육감 당선인은 "축구경기에서 지니까 앞으로 축구하지 말자는 것과 다를 바 없다"며 "주민직선제가 민주주의 발전과정에서 더 나은 제도라고 보고 선거법 개정을 해왔는데 이제와서 폐지하자는 것은 논리가 맞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청와대 홈페이지 등을 통해 세월호 참사 시국선언에 참가한 교사에 대해 교육부가 징계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서는 한 목소리로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장휘국 당선인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의사표현의 자유가 보장돼야 한다는 점에서 징계는 지나치다"고 말했다.

김병우 충북교육감 당선인은 "교육부나 일부 언론은 교사의 본분을 잊은 정치적 의사표현이라며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렇게 되면 개인적 피해는 물론 교육계 혼란이 뒤따른다"며 "행정적인 조치는 사법적 판단이 날 때까지 기다려주는게 옳다"고 강조했다.

질의응답 시간에 앞서 5명의 참석자들은 13명 진보 교육감 당선인 전체 명의의 공동 기자회견문을 발표하고 "공교육 혁신의 새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교육감 임기 동안 추진할 중점 교육개혁 과제들로 ▲모든 아이들을 위한 학교 ▲안전한 학교 ▲따뜻한 학교 ▲행복한 학교 ▲깨끗한 학교 ▲민주적 학교 등 6가지를 제시했다.<br>

andrew@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