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처리 새 먹거리인데…준공 지연·입찰 공정성 ‘잡음’[물만난 건설산업]②
턴키부터 분리막 교체 공사까지 수주전
“입찰 공정성 논란 없게 제도 개선 필요”
- 신현우 기자
(서울=뉴스1) 신현우 기자 = 산업계에서 신사업으로 ‘에코’를 점찍은 가운데, 수처리 분야 수주에 관심이 쏠린다. 일괄수주(턴키) 프로젝트부터 분리막 교체 공사까지 대상은 다양하다. 그러나 한정된 수주를 놓고 잡음이 일고 있다. 입찰 공정성 시비가 대표적인데, 관련해 공사 지연 문제도 있다. 일각에서는 수처리 사업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입찰 제도 개선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19일 조달청 나라장터에 따르면 올해 입찰 공고한 수처리 분리막 교체 사업은 △경남 김해시 대동맑은물순환센터 HANT분리막 교체사업 △경남 거제시 일운면 공공하수처리시설 분리막 교체 △경기 시흥시 목감수질복원센터 분리막(B계열) 교체 사업 △경기 화성시 동탄2 수질복원센터 분리막(4계열) 교체사업 등이다.
특히 올해 입찰 공고한 사업의 낙찰자에는 현대엔지니어링을 비롯해 에코니티·테크비전·엠비티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일부 진행 중인 사업에서 준공 지연이 발생하거나 입찰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다.
실제 지난 10월 완료 예정이었던 ‘천안시 공공하수처리시설 3단계 분리막 교체’ 사업은 준공 시기가 미뤄졌다. 해당 사업은 에코니티가 진행하고 있으며 공사가 완료될 경우 1일 3만㎡의 유량을 처리할 계획이다.
하지만 준공을 앞두고 진행한 성능시험에서 처리 유량이 목표치의 70%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천안시와 에코니티는 원인 파악에 나섰고, 이후 드럼스크린 수리를 진행했다.
이후 이뤄진 성능시험에서도 처리 유량이 목표치에 미치지 못했고, 이들은 준설과 함께 분리막 세정 작업을 진행했다. 현재 처리 유량은 목표치의 90% 수준이라고 천안시 관계자는 설명했다.
천안시 관계자는 “제품 효율 문제로 원인을 파악하다 준설 등의 작업을 진행했다”며 “이 과정에서 공사를 중단하고 공기를 연장하게 됐고, 최근 이주 간 시운전 후 준공 검사를 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 정도면 통상 효율이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처리 유량 목표치 100%를 다 맞추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한 달간의 신뢰성 시운전은 들어본 적이 없는데 만약 문제가 발생해도 보증 기간이 8년이기 때문에 충분히 문제를 고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익명을 요구한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통상 준공 전 처리 유량 목표치에 맞춰 30일간 신뢰성 시운전을 하는데, 목표치를 맞추지 못한 채 준공하는 건 이해하기 쉽지 않다”며 “목표치 90% 달성을 ‘문제없다’로 판단할 근거가 없는데, 시민을 위한 시설인 만큼 보수적인 자세가 필요하다”고 귀띔했다.
지난달 광주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소속 서용규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광주환경공단 행정사무감사에서 효천하수처리장 분리막 및 유닛 제작 구매 설치 계약과 관련해 공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의문점을 지적하고 재발방지를 요구했다.
지난 2013년 준공한 효천하수처리장은 10년 주기 분리막 교체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서용규 의원은 자재보유확인서·자재 수급 및 공급 확약서 확보율에 따른 자재확보(6점) 평가 가점이 근거와 공정성에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의문을 표하며 “특정 업체를 밀어주기 위한 규정이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법적으로 문제가 없고, 동일 사업과 관련해 다른 지자체도 해당 규정을 두고 있다”라는 광주환경공단 측 해명에도 서 의원은 “타 지자체가 그렇게 했다고 그 제도가 무조건 합법적인 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평가위원 선정 과정에서 공모가 있었는지, 계약 업체 대표와 평가위원 사이의 이해관계가 있는지 등에 대한 의문을 표하면서 “추후 재발방지와 이러한 의심이 들지 않도록 모든 계약 시 공정성과 투명성에 한 치의 오차가 없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광주환경공단 관계자는 “입찰 평가위원은 광주시 평가위원 300여 명 중 입찰 참가업체가 밀봉된 상태에서 직접 뽑은 후 평가를 진행해 공정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또 다른 관련업계 한 관계자는 “(입찰 과정에서) 학회를 비롯해 여러 이해관계가 맞물린 경우가 있다”며 “평가위원이 많지만 이미 어느 정도 네트워크가 형성돼 있을 수 있어 공정성 시비가 지속해서 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 공사도 이 같은 논란이 있을 경우 제도 보완을 추진하는데 사업이 점차 커지는 해당 분야 역시 시비가 없게 입찰제도 개선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며 “특정 업체를 지원해 준다는 이미지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hwshi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