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월세 30만 원? '청년주택' 대기표 끊고 기다린다[집이야기]

역세권 청년주택부터 1인가구 공유주택 등
서울시, 다양한 청년 주거 지원 정책 펼쳐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 서울의 한 IT 업체에 다니는 김모 과장은 최근 회사 후배의 집을 방문하고 깜짝 놀랐다. 용산 초역세권에 위치한 신축 오피스텔 외관은 민간 오피스텔과 다를 바 없었지만, 후배가 살고 있는 곳은 서울시가 운영하는 '청년안심주택'이었다. 셰어형으로 두 명이 함께 사는 이 주택의 월세는 30만 원에 불과했다. 김 과장은 "공공임대주택에 대한 선입관이 있었는데, 사회초년생 때 이런 정보를 알았더라면 몇 년간 종잣돈을 모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2030 청년층의 주거 안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서울시는 다양한 청년주택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 정책들을 잘 활용하면 주거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서울시는 청년안심주택을 통해 저렴한 임대료로 공공임대주택과 민간임대주택을 운영하고 있다. '용산 베르디움 프렌즈'가 그 대표적인 사례다. 삼각지역 초역세권에 위치한 이 단지는 청년안심주택의 일환으로 공급됐으며, 총 1086세대 중 상당수가 민간임대 방식으로 운영된다. 초기에는 선착순으로 입주자를 모집했으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추첨제로 변경됐다.

피트니스센터, 게스트하우스, 무인택배 서비스 등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하는데 월세는 24만 원에서 53만 원으로 매우 저렴하다. 이 단지는 서울시 임차보증금 무이자 지원 혜택과 정부의 주택기금대출상품을 통해 보증금 마련에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청년들과 신혼부부들에게 매우 유리하다.

나아가 2030년까지 청년안심주택 12만 호를 공급할 계획이다. 민간임대 임대료는 기존 대비 10%P 낮아져 주변 시세의 75~85% 수준까지 떨어질 예정이다. 관리비도 주차장 유료 개방과 임차형 공유공간 운영 수익 등을 활용해 10%P가량 인하된다.

아울러 서울시는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위치한 이 주택들은 주변 시세 대비 30~50% 저렴한 임대료를 제공한다.

2024년까지 3만 세대 이상의 역세권 청년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며, 현재까지 1만 2504세대가 공급되었다. 이러한 주택들은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금융 지원 제도를 병행하고 있다.

행복주택 또한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등을 대상으로 한 공공임대주택으로,저렴한 임대료와 주거지 근처의 다양한 편의시설을 제공한다. 신청자는 무주택 세대주여야 하며, 소득 및 자산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주거지 근처의 교통 편의성도 높아 많은 청년이 선호하고 있다.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도 늘어난다. 서울시는 향후 5년간 신촌·망원 등 지역에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 2만 실을 공급할 계획이다. 주거공간 임대료는 주변 원룸 시세의 50~70% 수준으로 책정된다. 공유공간의 이용료는 입주자가 사용한 만큼만 부과된다.

서울 지역 LH 청년매입임대주택도 높은 수요를 보인다. 지난 4월 입주자 모집 경쟁률은 127대 1로, 5년 사이에 7배 증가했다. LH 청년매입임대주택은 저렴한 임대료와 안정적인 거주 조건을 제공하여 많은 청년이 몰리고 있다. 이 주택은 특히 타지역 출신 청년에게 가산점을 부여해 경쟁력을 높인다.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hj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