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등장한 '국회 이전'…세종 집값 반전? vs 이대로 끝?[송승현의 손바닥부동산]

한때 전국에서 상승률 1위…지금은 최고가 대비 40% 빠져
선거철 마다 국회 이전, 낡은 공약…"더 이상 호재 아니다"

(서울=뉴스1) 황보준엽 신성철 기자 = 선거철 단골 공약으로 통하는 '국회 몽땅 이전'은 올해도 여지없이 등장했습니다. 이를 두고는 여야가 없죠. 다만 선거가 끝나면 공약도 거기서 끝이 났습니다. 그럼에도 세종시의 부동산 시장은 그때마다 어떤 식으로든 반응을 보여왔는데요. 이번에는 어떤 방향으로 시장이 흘러갈지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

뉴스1은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와 총선 이후 세종시 부동산 시장을 짚어 봤습니다.

세종시 아파트 전경.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추락하는 세종 집값…고점 대비 40%나 빠졌다

세종의 집값은 그야말로 추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한때 '천도론(행정수도론)'에 힘입어 천정부지로 올랐던 가격도 모두 반납했다는 평가까지 나오죠. 세종 아파트값은 2019년 상승을 시작해 이듬해에만 평균 38.06%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세종 아파트 매매가격은 23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죠. 평균 하락률도 전국 대비 12배에 달합니다.

실제 거래를 살펴볼까요. 세종시 도담동 도램마을 15단지 세종힐스테이트 34평형의 경우 지난 5일 5억 8500만 원에 손바뀜됐는데, 이는 직전 최고가(9억 6300만 원·22층) 대비 39%(3억 7800만 원) 하락했습니다.

고운동의 가락마을20단지 호반베르디움 33평형 역시 지난달 11일 신고가(7억 원) 대비 약 39%(2억 7000만 원) 하락한 4억 3000만 원에 거래됐죠.

집값이 타 지역보다도 하락세가 가파른 것은 그간 너무 올랐던 탓이라는 분석이 많습니다. 특히나 수요가 탄탄하지 않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서울과 같이 하락을 막아줄 만큼의 수요는 없다는 것이죠.

28일 오후 세종시 국회세종의사당 건립예정 부지에서 국민의 힘 후보들이 충청권 필승결의대회를 열고 총선 승리 및 국회의사당 세종시 완전 이전을 촉구하고 있다.2024.3.28/뉴스1 ⓒ News1 김기남 기자

◇다시 불붙은 '국회 이전' 이슈…찬반 팽팽, 집값은 어디로?

이 와중에 국회 이전 이슈가 다시 불붙은 겁니다. 지난해 8월에는 12개 상임위, 입법조사처, 예산정책처를 세종시 국회의사당 분원으로 이전하는 '국회 세종의사당의 설치 및 운영 등에 관한 규칙안'이 지난해 8월 통과됐는데, 분원이 아닌 전체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것이었죠. 거기다가 대통령 제2 집무실 이전까지 언급되고 있습니다.

물론 최고의 호재이긴 하지만 단골 메뉴라 시장이 반응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총선 때마다 대선 때마다 나오는 얘기이기 때문이죠. 다만 세종시의 부동산 시장은 그때마다 반응이 있긴 했습니다.

이번에는 어떨까요. 세종의 집값이 꿈틀댈까요. 아니면 별다른 영향이 없을까요. 사실 이를 두고도 의견은 엇갈립니다. 어느 한쪽이 맞는다고 하기에는 양쪽의 의견은 어느 정도 일리가 있습니다.

우선 가격이 오른다고 보는 쪽은 호재인 만큼 '일시적 조정'이 끝나면 반등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가시화가 된다고 하면 이주 수요가 늘어나게 되는 등 가격이 회복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의미입니다.

반대 측은 시각 자체가 다릅니다. 국회 이전을 큰 호재라고 보지 않죠. 이미 여러 차례 등장했던 사안이기 때문입니다.

최근 몇 년 새 천도론, 국회 전체 이전 등이 정치인의 입에 오르내렸죠. 지난 2020년 7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당시 원내대표)은 "행정수도를 제대로 완성할 것을 제안한다. 국회가 통째로 세종시로 내려가야 한다"며 천도론을 부채질했고, 윤석열 대통령도 대선 과정에서 이를 공약으로 내걸었습니다.

이번 22대 총선에서도 여야 모두 국회 세종 이전을 약속하기도 했죠. 이런 이유로 시장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낡을 대로 낡은 호재라고 보고 있는 겁니다.

여기에 향후 대규모 공급 물량이 대기하고 있다는 점도 악재로 꼽습니다. 세종시 공동주택 공급계획에 따르면 세종에는 올해 총 8720가구의 공동주택이 공급될 예정입니다.

물론 양쪽의 공통된 의견은 당장에는 반등하기가 쉽지 않다는 겁니다.

wns83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