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 가구부터 어르신까지…서울에선 안심 주택 '대세'된다[주거혁신2.0]②

인구 고령화·가구 형태 재편 등에 따른 신 주택 정책
주택 공급 확대 기반 마련, 서민 주거 안전망 확충도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서울시 어르신 안심주택 공급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2024.1.30/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전준우 기자 = 서울시가 1인 가구부터 청년, 어르신까지 전 세대를 아우르는 맞춤형 주택 공급에 나선다.

14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인구 고령화와 새로운 가구 형태의 재편에 따라 전 세대를 아우르는 주택 정책을 새롭게 마련했다.

우선 1인 가구 공유주택을 4년간 2만 가구 공급할 계획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30년 서울 시내 전체 가구(413만 가구) 중 1인 가구는 40%에 가까운 161만 명에 달할 전망이다. '1인 가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새로운 주거 유형이 필요한 실정이다.

1인 가구를 위한 공유주택은 집을 소유하지 않아도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하면서 주방·식당, 세탁실 등을 '공유' 방식으로 제공한다.

주변 원룸 시세 50~70% 수준으로 주방·세탁실 등은 함께 사용하는 구조다. 1000가구가량 연말 착공한다는 목표다.

만 19~39세는 6년까지 거주토록 하고, 만 40세가 넘은 중장년 이상은 최장 10년까지 살 수 있다.

고령자를 위한 새 임대주택 공급모델인 어르신 안심주택도 선보였다. 대한민국 인구 5명 중 1명이 65세인 '초고령사회' 진입이 1년여 앞(통계청, 2025년 고령인구 20.6%)으로 다가오면서 '고령자 주거 안정'을 돕기 위해서다.

이에 서울시는 19~39세에게 공급하는 청년 안심주택처럼 고령자를 위한 '어르신 안심주택'을 도입해 주변 시세 30~85% 수준으로 저렴하게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주로 시 외곽에 조성되던 실버타운·요양시설과 달리 어르신 안심주택은 편리하게 의료지원을 받을 수 있고 유동 인구가 많고 역세권에 조성할 예정이다.

어르신이 대중교통이나 생활 편의시설 등을 이용하는 데 불편이 없도록 △역세권 350m 이내 △간선도로변 50m 이내 △보건기관, 2·3차 종합병원 인근 350m 이내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이 조건 중 하나만 충족돼도 대상지가 될 수 있다.

1인 가구 공유주택도 혼자 사는 청년뿐 아니라 1~2인 어르신 또는 어르신 부부가 입주할 수 있다. 다만 어르신 부부가 사용할 공유주택에는 전용 주방도 조성할 계획이다.

서울 용산구 갈월동에 건설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 건설현장의 모습. 2023.4.4/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2017년 시작한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도 '청년안심주택'으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됐다. 오는 2030년까지 총 12만 호 공급 목표로 사업 대상지를 '역세권'으로 한정되지 않고 버스, 환승 등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한 간선도로변 50m 내외까지 확대했다.

이밖에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과 모아타운 등 재개발·재건축 사업 정상화를 통해 신규 주택 공급을 확대할 방침이다. 서민들의 안전한 주거 환경을 만들고자 공공 임대주택을 지속해서 공급하고,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 환경 개선에도 힘쓴다.

한편 <뉴스1>에선 오는 26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 1층 콘퍼런스홀에서 <'신도시·메가시티·GTX' 속도 내는 도시혁신>을 주제로 건설부동산부 포럼을 연다.

이날 행사에서는 한병용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이 '주택공급을 넘어 주거 가치를 실현하는 서울시 주택정책'을 주제로 주택공급 확대 기반 마련, 서민 주거 안전망 확충, 맞춤형 신주택 공급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junoo568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