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수능 대신 '대학 추천 할당제'…남한처럼 '사교육 경쟁'

학생 성적뿐만 아니라 부모 출신성분도 고려돼 '결과 좌우' 불만
대학 진학률 10~15%…나머지 남성은 군대, 여성은 공장·농촌으로

2018년 10월 1일 북한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개교 70주년을 맞은 김책공업종합대학을 방문한 모습(노동신문)/뉴스1

(서울=뉴스1) 임여익 기자 = 2025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시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비행기의 이·착륙을 금지할 정도로, 남한에서 수능은 중요한 대학 입시 제도다. 북한에도 비슷한 제도가 있지만 그 방식과 의미는 남한과 차이가 있다.

북한 대입 제도의 가장 큰 특징은 당국이 '대학 추천권 할당제'를 통해 학생의 대학 지원자격을 직접 결정한다는 점이다. 북한 고급중학교(남한의 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 시험에 응시하려면 자신이 속한 학교에서 추천권을 받아야 한다.

추천 기준에는 '예비고사'라고 불리는 시험의 성적뿐만 아니라, 학생의 출신성분과 부모의 정치사상 등이 포함된다. 북한의 주요 대학은 교육기관인 동시에 당의 간부양성기관이기 때문에 국가에 대한 충성도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북한 최고 명문대인 김일성종합대학은 학내 교육 및 연구 활동의 목적을 '당 정책의 제정·운영에 대한 기여'라고 명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북한에서는 성적보다 부모의 지위가 대학 입시 결과를 좌우한다는 불만도 나오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한에서 '자본'이 교육 격차를 만들어 대학 입학에 영향을 줄 때, 북한에서는 '계층'이 이런 문제를 만들어내고 있는 것이다.

사회주의식 무상·평등 교육을 지향하는 북한도 남한만큼은 아니지만 '대학 서열화'와 '과도한 사교육'이란 문제를 안고 있다.

북한에는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업종합대학, 고려성균관대학 등 3개의 종합대학과 그 밖의 여러 단과대학이 있다. 학생들 사이에서는 종합대학 3개를 비롯해 평양 인근에 있는 10여 개 대학에 대한 선호도가 월등히 높다고 한다.

이에 따른 사교육 경쟁도 벌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이후 전통적인 계획경제체제가 약화되고 '시장화' 현상이 일어나는 가운데, 교육 영역에서도 당국의 공적역할이 약화돼 개인의 사적 부담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가 자체 기술력으로 경제난을 극복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이를 위한 '전민과학기술 인재육성'을 국가 발전전략으로 선언, 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이에 따라 경쟁이 심화된 영향도 있다.

다만, 이런 문제는 소수 상위계층에만 해당하는 이야기다. 2019년 교육부와 통일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대학 진학률이 남한은 약 70%에 달하는 반면, 북한은 10~15% 수준이다.

북한에서 나머지 대다수 학생들 중 남성은 군에 동원되고 여성은 공장이나 농촌 등 직장에 배치된다. 이들이 다시 대학 입시에 도전하려면 남성은 10년간의 군 복무가 끝난 뒤에, 여성은 직장 일을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사실상 '재수'의 개념은 없다고 한다.

plusyou@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