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트럼프 2기' 앞두고 미중일 연쇄 회담…'외교 리스크 줄이기' 분주

APEC서 한중 시작으로 한미일·한미·한일 정상 릴레이 회담
한미일 공조 재확인 속 꽉 막혔던 한중 관계도 해빙 무드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페루 리마의 한 호텔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 앞서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과 악수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4.11.1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리마=뉴스1) 김정률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이 2년 만에 다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손을 맞잡았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두고 기존 한미동맹을 기반으로 한 윤석열 정부의 외교 기조에도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페루를 방문 중인 윤 대통령은 지난 15일 시 주석과 2년 만에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윤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 기간 중국을 비롯해 미국, 일본 등과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등 글로벌 중추 국가 실현이라는 타이틀에 걸맞은 외교 행보를 보였다.

지난해 APEC에서 시 주석과 1분간의 짧은 대화에 그쳤던 윤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29분간 대화를 이어갔다. 2년 전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 당시 개최한 한중 정상회담(25분)보다 길었다.

윤 대통령은 APEC 정상회의 시작에 앞서 시 주석과 만났다. 이번 중남미 순방 첫 공식 일정으로, 한중 정상회담에 두는 비중을 드러냈다는 분석이다.

윤 대통령은 시 주석에게 경제 협력을 더욱 강화하자고 강조했다. 이에 한중은 FTA 서비스 투자 협상 조기 완료 등에 뜻을 모으기로 하는 등 해빙 무드가 뚜렷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을 언급하며 역내 안정을 위한 중국의 역할론을 제안했다. 이에 시 주석은 "정세가 어떻게 변화하든 중한 양국은 수교의 초심을 고수하자"고 했다.

시 주석의 이런 발언은 중국이 기존에 강조하는 다자주의를 우회적으로 표한 것으로 보인다. 한미 동맹에 대해서는 중국도 이해하지만 안미경중(安美經中·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이라는 한국의 정책 기조를 이어가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양국 정상이 2년 만에 다시 만난 것은 북러 밀착과 더불어 트럼프 당선인의 등장이 촉매제가 됐다. 러시아와 깊이 밀착하는 북한 행보에 대한 중국의 전략적 고려, 북러에 더해 중국까지 북한과 밀착할 경우 역내 문제에 직면할 수 있는 윤석열 정부의 필요가 맞닿았다는 분석이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을 앞둔 윤석열 정부로서는 향후 북미 관계에 어떤 변화가 올지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 1기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과 직접 대화하면 한국은 북한 문제에서 소외당한 바 있다. 이에 주요 당사국인 중국과 관계 회복이 필요한 상황이다.

양측이 이런 상황은 이번 정상회담 당시 서로에게 방한과 방중을 제안하는 장면에서도 드러났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참석차 페루를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리마 컨벤션센터에서 한미일 정상회의 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 홈페이지) 2024.11.16/뉴스1 ⓒ News1 송원영 기자

윤 대통령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윤 대통령 등 3국 정상은 트럼프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한미일 협력이 흔들림 없이 계속 발전될 것이라는 데 뜻을 모았다. 또 3국은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북한과 러시아의 불법적인 군사협력을 강력히 규탄하는 등 기존 한미일 동맹의 기조를 재확인했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방위 공약이 철통같음을 재강조하며,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을 통한 확장억제 협력을 강화하겠다는 미국 측 의지를 강조했다.

아울러 이들은 3국 협력 사무국 설치를 통해 한미일 동맹의 지속성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3국 동맹 기조를 이어나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밖에도 윤 대통령은 한미·한일 정상회담도 각각 진행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윤 대통령에게 미국에 새로운 리더십이 출연해도 계속 한미관계를 성원하고 뒤에서 돕겠다"고 약속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동맹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를 불식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기존 한미일 동맹이 현재와 같은 수준에서 유지될지는 미지수다.

jrk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