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익위 "대학 기숙사 다인실, 1인공간 마련해야…대학평가 반영"

'대학기숙사·생활관 주거환경 개선 방안' 교육부 등에 권고
기숙사 43% 노후…다인실 형태, 청년층 생활방식 맞지 않아

유철환 국민권익위원장이 대학 기숙사·생활관 주거 환경 제도개선을 위해 지난달 31일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자대학교 기숙사 E-하우스를 방문, 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2024.11.4/뉴스1

(서울=뉴스1) 이기림 기자 = 앞으로 대학 기숙사의 다인실에 1인 생활공간이 따로 배치되는 공유형 기숙사 형태로 바뀔 전망이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같은 내용의 '대학기숙사·생활관 주거환경 개선 방안'을 의결해 교육부 등에 제도개선을 권고했다고 4일 밝혔다.

권익위에 따르면 현재 대학들이 운영하는 기숙사·생활관 중 약 43%는 준공된 지 20년이 지난 노후기숙사다. 그동안 소음, 냉·난방, 벌레·곰팡이 문제와 공용시설의 크고 작은 고장 등 시설 불만족 민원들이 제기돼 왔다.

특히 노후기숙사는 예전의 전통적 다인실 형태를 유지하고 있어 독립적인 생활공간을 선호하는 MZ세대와 외동으로 자란 청년층 생활방식과 맞지 않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기숙사의 다인실 평균 공실률은 2022년 기준 3인실은 약 17%, 4인실 이상은 약 22%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숙사 운영 적자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반면 독립생활공간을 선호하는 학생들은 캠퍼스 밖의 원룸이나 오피스텔을 선택하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전세사기 위험성은 커지고 부모들은 기숙사보다 훨씬 높은 전월세 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현실적인 어려움에 놓여 있는 상황이다.

대학들은 '기숙사 수용률'이라는 평가 기준도 무시할 수 없어, 신축에 집중하고 있으나 이마저도 대학 인근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원활히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권익위는 지난해 9월 국민생각함을 통한 설문조사를 시작으로 12월 서울지역 주요 대학의 관계자, 기숙사 학생대표 등이 참석한 기숙사 현장간담회를 실시했다.

또한 기숙사 관련 국민신문고 신청민원과 설문조사 결과, 현장간담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모아 이번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우선 권익위는 청년 수요자의 주거선호도를 반영해 대학 평가인증 기준에 다인실의 독립생활공간 배치 비율과 노후기숙사 주거환경개선 노력도 지표 항목을 신설하도록 했다.

이 방안은 대학 최초로 다인실 안에 독립생활공간과 생활공유공간을 함께 배치해 학생들의 주거 만족도가 높은 이화여자대학교의 기숙사를 모범사례로 참고했다.

아울러 캠퍼스 내의 노후화 된 강의동이나 연구동을 재건축할 때 강의시설 등과 기숙사를 연계, 복합형 기숙사로 건립하거나 대학 인근의 원룸이나 빌라, 건축물 등을 학생기숙사로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도록 했다.

대학 인근 원룸이나 오피스텔 등 캠퍼스 밖에 거주하게 되는 학생들을 위해 전세 사기 예방교육도 시행하도록 했다.

이외에도 대학발전기금의 용도를 확대해 기숙사 주거환경 개선 등에 사용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노후기숙사의 시설 유지보수를 위해 장기수선충당금 적립을 위한 근거 규정을 마련하도록 했다.

유철환 권익위원장은 "기숙사의 다인실 안에 독립 생활공간과 거실 등 공유 공간을 함께 배치함으로써 MZ세대의 주거 만족도뿐만 아니라 단체생활의 협동·배려·소통의 교육 목표도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기숙사 문화의 정착을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lgiri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