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우의장 '대선날 개헌 투표' 제안에 난색…"졸속 처리"

"내란 종식이 우선…60일내 개헌 처리하기 무리"
"우원식 개헌 제안, 시기적으로 아주 맞지 않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며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5.4.4/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며 동료 의원들과 인사하고 있다. 2025.4.4/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김지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이 7일 조기 대선 날 개헌 국민 투표를 동시에 하자는 우원식 국회의장의 제안에 대해 난색을 표하는 분위기다.

개헌보다는 윤석열 정권에 대한 심판과 함께 내란 종식이 우선이 돼야 한다는 점과 개헌을 60일 내 졸속으로 처리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이다.

박성준 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KBS 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해 "개헌을 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일이 필요하다는 게 대체적인 중론"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조기 대선까지) 이제 50여 일이 남았다"고 말했다.

박 원내수석부대표는 "충분한 숙의와 공론이 이루어지기에는 어렵다"면서 "개헌과 (투표를) 같이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도부도 6월3일 동시 투표는 상당히 어렵지 않겠느냐는 판단을 대체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겠나"라며 "다만 개헌에 대한 필요성은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이날 대선과 개헌을 같은 날 투표하자는 우 의장을 향해 "시기적으로 아주 맞지 않은 시기에 (제안을) 했다"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를 통해 "윤석열이 파면되고 내란 종식을 해야 하는 과제들이 남아있는 상황에서 어제의 긴급 기자회견은 맞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현 국정 상황과 연관 지어 "민생뿐만 아니라 미국과의 관계 등 풀어야 할 것들이 많다"며 "지금 개헌 얘기를 꺼내니 개헌이 이슈를 빨아들였다"고 진단했다.

그는 "지금 윤석열 내란 수괴는 아직도 관저에서 나가지도 않은 상태에 이런 이슈를 던지는 거는 시기적으로 안 맞다"며 "실제 내용 면에서도 개헌을 그렇게 졸속으로 60일 만에 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미 지난 국회까지 개헌 논의를 해왔기 때문에 개헌을 속도감 있게 진행할 수 있다는 우 의장의 주장에 대해서는 "그렇다고 해도 실제 여야가 합의를 어느 정도 봐야 되고 국민적 공감대도 형성이 돼야 한다"며 "그렇게 60일 만에 졸속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만약에 60일 만에 한다면 한두 가지 사항은 할 수 있다"면서 "사전 국회 동의 제도와 같이 독재자가 나타나더라도 계엄을 함부로 하지 못하게 하는 것은 고칠 수 있다. 다만 2년 중임제와 같이 정치의 틀을 (바꿀 수) 있는 것은 시기가 맞지 않다"고 덧붙였다.

박수현 의원도 YTN 라디오 '뉴스파이팅'에서 "개헌에 대한 내용들이 이미 많은 부분 연구가 돼 있긴 하지만 합의해 가는 과정을 조기 대선 시기에 다룰 수는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박 의원은 이번 조기 대선을 두고 "각 정당과 각 후보들이 향후 개헌의 로드맵 일정들을 정확하게 국민이 믿으실 수 있도록 공약하는 수준에서 대선이 치러지지 않겠냐"며 "국회의장이 던진 개헌의 파장이나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힘이 내란 옹호 정당 역할을 한 것이 사실 아니냐"며 "그런 정당과 내란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개헝늘 논의한다는 것도 문제로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어쨌든 민주당 의원들의 대체적인 의견은 불법 계엄으로 인한 내란을 빨리 종식시키는 것"이라며 "이것이 우선 가장 급하게 할 일이라는 의견이 대다수"라고 덧붙였다.

mine12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