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서 러시아와 거리 둔 中…KADIZ 진입 연합훈련 왜?

여름에도 해·공군 연합훈련…한미일 3국 공조에 맞대응 성격

러시아 TU-95 폭격기(위에서부터 시계방향)와 중국 H-6 폭격기, 러시아 A-50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자료사진>ⓒ 로이터=뉴스1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중국이 우크라이나전의 영향으로 러시아와 거리를 두면서도 인도·태평양 지역에선 이해관계가 일치해 군사 협력을 하고 있다.

2일 우리 군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오전 9시 35분부터 오후 1시 53분까지 4시간 20여분 동안 중국 군용기 5대와 러시아 군용기 6대 등 모두 11대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순차적으로 진입했다가 이탈했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엔 각각 폭격기가 포함됐다.

이와 관련 중국 국방부는 위챗을 통해 "중러가 연간 협력 계획에 근거해 동해 관련 공역에서 9차 연합 공중 전략 순찰을 실시했다"라고 설명했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가 동시에 KADIZ에 무단 진입한 것은 지난해 12월 14일 이후 약 1년 만이다. 올해 7월 30일엔 중국의 무인 정찰기 우전(WZ)-7 3대가 KADIZ에 진입하기도 했다.

이번 KADIZ 진입은 중국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 및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과 관련해 '엇박자'를 내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져 더욱 주목받았다.

중국은 북한과 달리 러시아에 우크라이나전 관련 지원을 하지 않고 있으며, 북한군의 파병에도 "모든 당사국이 정세의 긴장 완화와 (사태의) 정치적인 해결을 위해 노력하길 희망한다"라는 원론적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중국은 이후 러북 정상회담 등에 대해서도 "양국 간의 일"이라고 선을 그어, 북중 및 중러 관계를 비롯해 '북중러 연대'에 균열이 가고 있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우크라이나에 불법 침공한 러시아를 지원할 경우 가해질 수 있는 국제사회의 제재 등이 중국 입장에서는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경제난이 가속화되면서 경제적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 13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한미일 다영역 훈련 '프리덤 에지' 훈련이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한국 F-15K 2대와 미국 F-35 1대, 일본 F-2 2대. (합동참모본부 제공) 2024.11.14/뉴스1

그럼에도 중국이 이번에 러시아와 연합 공중 전략 순찰을 실시한 주목적은 인·태 지역에서의 군사적 영향력 유지로 평가된다. 중국과 러시아는 한반도 인근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한 한중일 3국의 강한 견제를 받고 있어 무력시위를 할 필요성을 느꼈을 수 있다.

김대영 한국국가전략연구원 군사전문연구위원은 "중국 지도부는 우크라이나전과 관련해 불편한 점이 있겠지만, 이번 KADIZ 침범은 갑자기 한 게 아니라 2019년부터 9번째인 만큼 사전에 조율된 것"이라며 "인·태 지역에서 한미일의 훈련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앞으로 더 많이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앞서 한미일은 지난 11월 13~15일 제주 남방 공해상에서 다영역 훈련인 '프리덤 에지'를 실시했다. 지난해 8월 '캠프데이비드 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실시된 두 번째 훈련으로, 이번에는 미국의 원자력 추진 항공모함 '조지워싱턴'도 참가했다.

중국과 러시아가 향후 한반도 인근에서 공중자산 외에도 해군을 동원해 '다영역' 훈련을 펼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실제로 중국은 이번에 군용기를 띄우기 전 구축함을 동해에 보냈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올 9월 러시아 주관 '오션 2024', 중국 주관 '북부·연합 2024' 훈련을 함께했다. 당시 양국 해군 함대는 해상에서 합류했고, 군용기도 총 100대 이상 동원했다. 이를 놓고 우크라이나 전쟁과 별개로 인·태 지역에서의 양국 연대는 공고하다는 의미로 해석됐다.

우리 정부와 군은 향후 아·태 지역에서 북중러 3국의 연합훈련이 펼쳐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철저히 북중 혹은 중러 양자 차원에서만 협력을 모색하고 있지만, 러시아는 지난해 북중러 연합훈련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김 연구위원은 "공중훈련을 할 경우 북한은 폭격기나 전투기 등 바다까지 출격시킬 마땅한 자산이 없을 것"이라며 "다만 중국이든, 러시아든 동해 쪽으로 병력을 움직일 경우 북한에 미리 알려주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말했다.

hgo@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