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 극초음속미사일 사거리 등 과장…전력화까진 상당기간"
北 "1000㎞계선 동해상 수역에 정확히 탄착"…한미일 "600여㎞"
"고체 극초음속 미사일·ICBM급 탄두부 열방호·재진입 검증 필요"
- 박응진 기자, 허고운 기자
(서울=뉴스1) 박응진 허고운 기자 = 북한이 첫 시험발사 성공을 주장한 신형 중장거리 극초음속미사일 '화성포-16나'(극초음속 4형)의 비행거리 등 제원은 과장됐으며, 이를 전력화하기까진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이란 군 당국의 분석이 나왔다.
합동참모본부는 3일 국방부 출입기자들에게 별도 자료를 배포해 "북한이 주장하는 비행거리는 우리 군의 분석과 차이가 있으며, 과장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라며 "한미일이 분석한 결과는 600여㎞"라고 밝혔다.
북한은 지난 2일 평양시 교외의 한 군부대훈련장에서 동북 방향으로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 전투부가 예정된 비행궤도를 따라 1차 정점고도 101.1㎞, 2차 정점고도 72.3㎞를 찍으며 비행해 사거리 1000㎞계선의 동해상 수역에 정확히 탄착했다고 이날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주장했다.
이와 관련 합참은 "북한이 2단 엔진 점화를 의도적으로 지연시키고, 2단 엔진 연소 중 비행방향을 변경(팝업·풀업 기동)했다고 주장한 내용은 우리 군의 분석과 차이가 있으며, 과장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의 '1000㎞계선' 표현은 1000㎞의 경계선을 뜻하는데, 이번에 발사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이에 미치지 못한다는 게 합참 관계자의 설명이다.
합참은 "이번 발사는 신형 고체 극초음속미사일의 첫 시험발사로 개발 초기 단계 미사일의 비행성능 시험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이며, 일부 기술 진전이 있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합참이 언급한 일부 기술 진전엔 북한이 미사일 끝에 장착하는 탄두부를 기존 원뿔형에서 활공체형으로 바꾼 점과 추진체 추력이 강해진 점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다만 합참은 "극초음속 미사일은 마하 5(초속 1.7㎞)이상의 극초음속으로 100㎞이상 활공비행이 가능한 미사일로서, 종심이 짧은 한반도 내에서는 성능발휘가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극초음속 미사일은 아직 미국, 중국, 러시아 등 선진국들도 개발 중인 고난도의 기술이 요구되는 무기체계로서 전력화 시기를 예단하기는 제한되나,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합참은 "각이한 사거리의 모든 전술, 작전, 전략급 미사일들의 고체연료화, 탄두조종화, 핵무기화를 완전무결하게 실현"했다는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의 주장도 맞받아쳤다.
합참은 "북한은 2019년부터 다종의 고체 탄도미사일을 개발해오고 있으며, 단거리 고체 탄도미사일은 개발완료 단계에 있으나 고체 극초음속 미사일과 ICBM(대륙간탄도미사일)급은 탄두부 열방호·재진입 능력 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pej86@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