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군사분계선 일대에 대구경 방사포·무인기 '샛별' 등 들여올 수도

9·19합의 일부 효력 정지에 "더 강한 무력·신형 군사장비 배치"

(평양 노동신문=뉴스1) = <자료사진>[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서울=뉴스1) 박응진 기자 = 북한이 지난 21일 정찰위성 발사에 이어 23일엔 사실상 '9·19남북군사합의' 파기를 선언했다.

표면적으론 우리 정부가 22일 '9·19합의' 일부(군사분계선(MDL) 일대 '비행금지구역' 설정) 조항의 효력 정지를 결정한 데 따른 반발 차원인 것으로 보이지만, 일각에선 "이미 오랜 기간 준비해왔던 것일 수도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북한 또한 우리 측과 마찬가지로 9·19합의에 따른 MDL 등 접경지 일대 군사적 활동의 제약을 의식해 그 해제를 바라왔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단 얘기다.

북한 국방성은 이날 오전 발표한 성명에서 "9·19합의에 따라 중지했던 모든 군사적 조치들을 즉시 회복할 것"이라며 "MDL 지역에 더욱 강력한 무력과 신형 군사장비들을 전진 배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이 최근 수년간 개발한 무기체계 가운데 비교적 사거리가 짧은 '600㎜ 초대형 방사포' '근거리형 전술유도탄' 등을 비롯해 신형 무인기를 운용하는 부대를 MDL 인근으로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방사포'란 다연장로켓포(MLRS)의 북한식 표현이다. 북한이 개발한 신형 방사포 가운데 일부는 탄도미사일 기술을 적용한 사실상의 단거리탄도미사일(SRBM)로서 목표물까지의 유도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은 물론, 재래식 탄두뿐만 아니라 전술핵탄두 탑재도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KN-25라고도 불리는 '600㎜ 초대형 방사포'의 경우 사거리가 최대 400㎞에 이르러 MDL 인근에서 쐈을 때 서울 등 수도권은 물론, 주한미군기지가 있는 경기도 평택·충북 청주 및 경북 성주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기지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북한이 작년 4월 처음 시험 발사한 근거리형 전술유도탄 '화성-11라'도 대남 위협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MDL 인근에 배치될 가능성이 있는 무기체계다. 전문가들은 '화성-11라' 또한 전술핵 탑재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대 사거리가 110여㎞ 정도로 추정되는 '화성-11라'는 북한이 대남 타격 목적에 특화해 만든 것으로서 그 외형 등이 우리 군의 전술지대지유도무기(KTSSM)와 유사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평양 노동신문=뉴스1) = <자료사진>[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DB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Redistribution Prohibited] rodongphoto@news1.kr

이밖에 북한이 올 7월 무장장비전시회와 열병식에서 처음 선보인 신형 정찰·공격용 무인기 '샛별-4·9형' 또한 앞으로 MDL 일대 상공에서 임무를 수행할 가능성이 점쳐졌다.

북한의 이들 무인기는 현재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무인기 RQ-4 '글로벌 호크' 및 MQ-9 '리퍼'와 유사한 형상으로 설계돼 있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MDL 일대 전력 배치를 증강할 경우 각종 방사포 부대들을 전면에 내세울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류성엽 21세기 군사연구소 전문분석관은 "북한이 최근 양산에 들어갔다는 근거리·단거리 탄도미사일이나 초대형 방사포 등을 9·19합의 파기를 핑계로 전진배치할 것"이라며 "이후 동계훈련 등의 과정에서 그 영상을 공개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우리 군 또한 미사일방어체계와 대(對)화력전체계를 강화하는 등의 방식으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도 "북한은 전술핵 탑재가 가능한 무기체계들을 MDL 일대에 많이 배치하려고 할 것"이라며 "그뿐만 아니라 앞으로 비무장지대(DMZ) 내 총격 등 여러 형태의 국지도발로 위협 수위를 높일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우리 군도 MDL 일대 비행금지구역 해제에 따른 작전구역 확대를 십분 활용, 북한군의 접경지 군사 활동에 대한 감시·정찰을 강화함으로써 그 대비태세를 철저히 한다는 방침이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답변을 통해 북한의 MDL 일대 전력 강화에 맞서 "전선(戰線) 지역을 정밀 감시해 북한이 어떤 군사적 위협을 추가적으로 하는지 잘 살펴보고 대응책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23일 오후까진 MDL 이북 지역에서 북한군의 특이동향은 식별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pej86@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