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포비아' 일파만파…"배터리 관리시스템 고도화가 해법"
與 권영진 주최 토론회…"개별 대응 혼란만, 종합대책 마련"
"한국이 앞선 전고체 배터리가 근본 대안…아직 갈길 멀어"
- 송상현 기자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권영진 국민의힘 의원이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된 '전기차 화재' 대응 방법과 안전관리 방안을 고민하는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를 사용자 등에게 통보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고도화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권 의원은 22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열린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안전관리 방안 정책토론회'에서 "'전기차 포비아'라고 할 정도로 전기차 화재가 이슈고 국민들의 불안과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라며 "저마다 다른 원인과 처방을 내는데 '(전기차를) 지하에 두면 안 된다. 지상으로 올려라'라는 곳이 있는가하면 심지어는 이미 인허가가 난 아파트도 설비를 변경하라고 한다. 어떤 지자체는 '전기차를 100% 충전하면 안 된다. 90%만 하라'고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각자 대응하면 혼란이 있을 수밖에 없다"며 "종합적인 예방 대응책이 나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경호 원내대표는 "전기차가 새로운 시대에 맞는 이동 수단으로 각광 받으면서 정부가 수요 진작과 공급 확대 등 정책적으로 엄청난 지원을 했다"면서도 "화재 때문에 안전 확보가 굉장히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고 했다.
최장욱 현대차-서울대 배터리 공동연구센터장은 △셀 불량 △과충전 △충돌 △진행성 열화(외부 요인에 의해 화학적·물리적 성질이 떨어짐)를 전기차 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꼽으면서 셀 불량과 과충전의 경우 기술 발전으로 통계적으로 확률이 낮다고 했다.
다만 진행성 열화의 경우 "(배터리가) 멀쩡해 보여도 시간이 지나면서 열화될 수 있다"며 "복합변수에 의해 이런 경우가 생기면 진단 기술을 도입해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송준호 전자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전지를 아무리 잘 만들어도 수십억 개 중 1개는 제작 결함이 있을 수 있다"며 "배터리 안의 수천개 셀 중에 하나라도 5~10년 사이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를 잘 걸러내고,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게 현실적인 대안"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 예방 방안으로 BMS 고도화를 들었다. BMS는 배터리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이상 징후를 발견하고 최적 상태로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최 센터장은 "배터리에 어떤 (문제) 신호를 BMS가 발견했을 때 그 정보를 고객에게 문자로 발송하는 게 필요하지만, 고객 동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안전사고로 확대될 수 있을 경우엔 의무적으로 발송이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택 한국자동차산업협회 상무는"BMS가 초기에 비해 성능이 업그레이드됐고 내년 이후엔 상향 평준화돼 공급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재정 산업통상자원부 배터리전기전자과장은 (전기차 화재 예방의) 결론은 BMS가 될 것"이라며 "문제는 자동차 업체가 일정 성능 이상 가진 BMS를 탑재하도록 하는 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은정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BMS 고도화 관련해선 올해부터 안전도 평가에 담아서 고도화된 BMS가 탑재된 차량에 안전도 등급 높게 부여해 제작사의 자발성을 이끌 것"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화재를 원천 봉쇄할 수 있는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봤지만 당장은 상용화가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김기택 상무는 "전고체 배터리가 개발된다면 (전기차 화재의) 근본적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전고체 배터리 생산에 앞장서 투자해 나가고 있기 때문에 기회도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재경 삼성SDI 부사장은 "전고체 배터리는 27년 (상용화가) 목표이긴 한데 (그때가 되더라도) 모든 배터리를 대체할 순 없다"며 "최대한 현재 배터리 기술에서 최대한 안전성 확보하는 기술을 만드는게 중요한 목표"라고 말했다.
songs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