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2기' 사실상 확정…'다양성·거부권·한동훈' 과제
강해지는 李 일극체제에 다양성 실종…중도층 확장에 걸림돌
대여 공세 퍼부었지만 '거부권' 막혀…한동훈 관계설정 관건
- 한병찬 기자
(서울=뉴스1) 한병찬 기자 =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더불어민주당 8·18 전당대회는 '이재명 일극체제'의 재확인이었다. 이변 없는 '확대명'(확실히 대표는 이재명)으로 굳어지며 '이재명 2기 지도부' 앞에 놓인 과제들은 더욱 뚜렷해졌다.
12일 민주당에 따르면 서울을 제외한 지역 경선을 모두 마친 이재명 민주당 당대표 후보는 누적 득표율 26만 2478표(89.21%)를 기록하며 압도적인 존재감을 나타냈다. 경쟁자로 나선 김두관 후보 누적 득표는 2만 7492표(9.34%), 김지수 후보는 4271표(1.45%)에 그쳤다.
이대로 전당대회가 마무리된다면 이 후보는 첫 대표로 선출된 지난 2022년 득표율인 77.77%보다 훨씬 더 높은 지지율로 당선될 것으로 보인다. 역대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도 약 90%대의 지지율을 보인 적이 없던 만큼 곧 출범할 이재명 2기 지도부의 어깨는 무거울 것으로 보인다.
먼저 민주당의 첫 과제는 '다양성의 회복'이다. 현재까지 전당대회의 모습에선 다양성을 찾기 어려웠다. 8명의 최고위원 후보마저 '친명(친이재명) 마케팅', '선명성 경쟁'에 나서며 새로운 비전과 정책은 실종됐다.
김두관 당대표 후보는 당내 다양성을 언급했다가 강성 당원들에게 '수박'이라는 비난을 받아야 했고 정봉주, 이언주 최고위원 후보 또한 강성 당원에게 찍혀 곤욕을 치렀다. 여기에 이 후보의 최고위원 후보 경선 개입에 대한 반발의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이재명 2기 지도부가 26년 지방선거와 27년 대통령 선거에 승리하기 위해 외연 확장은 필수적인 만큼 일극체제가 강화되는 모양새는 긍정적이진 않다. 이 전 대표를 향한 과도한 '충성 경쟁' 등은 중도층 확장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의 복권도 전망되며 당내 다양성이 회복되지 않을 경우 계파 분쟁으로 비화할 가능성도 있다.
여당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도 중요한 과제다. 민주당은 제22대 국회 들어 대여 투쟁 일변도를 고수해 왔다. 각종 특검법을 비롯해 상임위별 청문회를 적극 활용하며 정부·여당을 압박해 왔다.
그러나 22대 국회는 개원 2개월 동안 '입법 강행→필리버스터·거부권→재의결' 도돌이표 정국에 갇히며 성과를 내지 못했다. 민주당이 당론으로 채택해 밀어붙인 법안은 윤석열 대통령의 재의요구권(거부권)에 가로막히며 국회에 되돌아온 상황이다. 청문회 또한 '결정타'를 날리지 못하며 민주당의 부담은 점점 커지고 있다.
2기 지도부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여당과의 협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가 국민의힘 전당대회 과정에서 제안한 '해병대원 특검법 제3자 추천안'과 이 전 대표가 꺼낸 '종부세·금투세 완화'도 협상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야는 민생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여야정 협의체'를 구성하거나 정책위의장 회동을 통해 민생 법안을 처리하자는 공감대를 형성하기도 했다.
한 대표와의 새로운 관계성도 주목된다. 이 대표는 지난 4·10 총선 과정에서 윤 대통령을 향해서는 맹공을 퍼부었지만 당시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잇단 도발에는 무대응으로 일관해 왔다. 그러나 한 대표가 여당의 당대표로 자리 잡은 만큼 지난 총선 때처럼 무대응 전략을 유지하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 대표는 이 전 대표에게 금투세 폐지 문제를 다루기 위한 토론에 응하라고 압박하기도 했다.
bcha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