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등판' 3대 과제…尹 관계설정·세력화·총선 책임론

잠행하던 韓, '직구 금지' 비판 뛰어들어…전대 출마 신호탄 분석
책임론엔 친한계가 엄호…윤심 줄어들며 전대 친윤 견제도 제한적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위원장직 사퇴 입장을 밝힌 뒤 당사를 나서고 있다.(공동취재) 2024.4.11/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당권 도전이 기정사실화 하는 분위기다. '어대한'(어차피 대표는 한동훈)이란 말이 나올만큼 한 전 위원장의 경쟁력은 높다는 평가다. 다만, 정치신인이자, 이제 '비윤'(비윤석열) 인사로 분류되는 그에게 친윤과의 관계와 당내 세력 구축 등 과제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22일 여권에 따르면 한 전 위원장의 최근 적극적인 SNS활동에 나서면 사실상 전대 출마 신호탄을 쏘아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전 위원장은 앞서 "저도 가끔 해외직구를 한다"며 정부의 KC미인증 직구 제한 추진 방안을 비판했다. 이 과정에서 오세훈 서울시장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한 전 위원장이 정치를 하면서 SNS메시지를 올릴 경우는 극히 드물다.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으로 비대위원장직을 사퇴한 그가 SNS메시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사실상 출마 수순이란 평가다.

한 전 위원장의 당권 가능성은 높다는 게 대체적 시각이다. 여권의 차기 대권주자 가운데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당권 여론조사에서도 그는 높은 경쟁력을 과시했다. 이에 일각에선 '어대한'이란 목소리가 나온다.

한 전 위원장이 출마할 경우 그의 앞에 놓인 과제도 적지 않다는 분석이다. 우선 총선 패배 책임론을 극복해야 한다. 여권에서는 '정권심판' 총선 패배에 대한 일차적 책임을 윤석열 대통령으로 바로보는 시선이 다수지만, 지난 총선을 지휘한 한 전 위원장을 책임을 묻는 이들도 적지 않다.

총선 패배 원인을 분석하는 총선백서 태스크포스(TF)의 조정훈 위원장이 한 전 위원장 책임론을 거론하고 있다. 이같은 여론이 확산되고 그의 책임론이 커질 경우 총선 패배 직후 당권 장악에 나서는 그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과 관계설정도 과제로 꼽힌다. 여당 대표는 임기가 3년 이상 남은 '살아있는 권력'인 윤 대통령의 외면할 수 없다. 지난 총선에서 친윤(친윤석열)으로 분류되는 인사가 다수 당선되면서 전대 출마를 선언할 경우 견제가 본격화 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를 극복하고 당권을 잡더라도 윤 대통령과의 관계는 여전히 그에게 고민이 될 것으로 보인다. 현역인 윤 대통령이 그를 견제할 경우 여당 대표로서 존재감을 잃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실제 총선 이후 윤 대통령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영수회담'을 진행하는 등 언제든 야권과 직접 소통할 수 있다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한 전 위원장의 당내 세력화와도 연계된다. 차기 대권주자는 '대선 1년 6개월 전 당직을 맡지 못한다'는 규정에 따라, 당대표가 되더라도 임기는 2026년 열리는 지방선거 등 전국단위 선거를 지휘하기 힘들다. 당 대표로서 당을 장악하거나 자신의 영향력을 선보일 기회가 없는 것이다.

여권에서는 한 전 위원장이 이 같은 과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총선 책임론을 두고 총선 당시 사무총장을 지낸 장동혁 의원, 정영환 전 공관위원장 등 친한계 인사들이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며 엄호하고 있다.

윤 대통령과 관계 개선 가능성도 감지된다. 윤 대통령은 취임 2주년 기자회견에서 한 전 위원장과의 오랜 인연을 소개하며 언제든 만날 것이라며 유화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윤심(윤석열 의중)이 작용했던 지난 전대와 달리, 윤 대통령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이란 점에서 윤 대통령이 차기 당권 주자와 관계개선에 보다 적극적으로 나설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여권 관계자는 "현재 여당에서 '친윤'으로 명확히 규정되는 인사는 제한적"이라며 "윤 대통령 역시 미래권력인 한 전 위원장을 외면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pkb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