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지하화·서울편입 앞세운 한동훈…수도권 공략 속도

지난주 수원·구리·김포 등 3차례 현장 방문…공약 직접 제시
인천 원희룡, 수원 이수정·방문규·김현준 등 네임드 인사 출격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경기 김포시 라베니체 광장에서 열린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 노선안 환영 및 조기개통 촉구 시민대회에 참석해 시민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2024.2.3/뉴스1 ⓒ News1 유승관 기자

(서울=뉴스1) 박기범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번 총선 승패를 가를 수도권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 민생현장을 방문해 선거바람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철도지하화와 서울편입 등 수도권 맞춤형 공약도 직접 제시했다. 공천심사가 본격화하는 상황에서 당의 전략적 인재배치도 주목된다.

4일 여권에 따르면 한 위원장은 경기도 수원(1월31일)·구리(2월2일)·김포(2월3일) 등 지난주에만 3차례 경기도를 찾았다. 올해 초 전국을 순회한 데 이어 이번에는 수도권을 집중 공략한 것이다.

이번 방문에서도 한 위원장이 등장한 현장에는 많은 지지자들이 몰렸다. 한 위원장은 직접 시민들과 사진촬영을 하는 등 대국민 소통에 집중했다. 지역 인사는 한 위원장 방문에 선거 분위기가 고조됐다고 설명했다.

한 위원장의 이번 방문에서 눈길을 끄는 것은 '공약'이다. 앞선 전국순회가 정치신인 한 위원장의 '정치권 데뷔무대' 성격이 강했다면, 이번 수도권 방문에는 공약을 통한 정책에 초점이 맞춰졌다.

한 위원장은 경기도 수원에서 직접 '국민택배'를 들고 철도지하화를 약속했다. '서울편입' 이슈가 있는 구리와 김포에서는 두 지역의 '서울편입'을 외쳤다. 두 공약은 이들 지역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역에 영향을 미치는 공약으로, 수도권 민심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 위원장은 야당에서 철도지하화 등 공약사업의 재원 문제를 제기하자 "재원을 감안한 공약"이라며 "우리는 실천할 것"이라고 여당 프리미엄도 내세웠다. 한 위원장은 이에 앞선 윤석열 대통령과 오찬 회동에서 철도지하화에 대한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경기지역의 서울 편입 논의를 확장하기 위한 서울·경기 생활권 재편을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TF)도 출범시켰다.

한 위원장의 이같은 행보는 수도권 선거의 중요성 때문이다. 수도권에는 전체 253개 지역구의 절반에 해당하는 121개 선거구가 있다. 수도권 선거 결과에 따라 총선 승패가 갈리는 것이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여권에 수도권 선거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지난 1월30일~2월1일 실시한 한국갤럽 자체 여론조사(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에서 국민의힘은 서울에서 34%를 받으며 31%의 더불어민주당에 앞섰다. 반면 인천·경기에서는 민주당에 3%p 뒤처진 33%로 조사됐다.

이 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운영 평가는 서울에서 긍정26%, 부정 64%, 인천·경기에서 긍정 29%, 부정 65%로 조사됐다. 당 지지율에서는 국민의힘과 민주당이 큰 격차를 보이지 않았지만, '정권심판론'이 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의 낮은 지지율은 여권에 부담으로 꼽힌다. 수도권은 중도층 표심공략이 중요한데, 중도층에서는 야권이 여전히 강세를 보이는 점도 수도권 선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로 꼽힌다.

여권은 인지도와 경력을 갖춘 인사들을 대거 투입해 분위기 반전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경기도에서 가장 많은 의석이 있는 수원에는 이수정 경기대 교수(수원정), 방문규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수원병), 김현준 전 국세청장(수원갑)이 출마를 선언했다. 한 위원장이 영입한 '갤럭시 신화' 고동진 전 삼성전자 사장의 수원 출마설이 이어지고 있다.

인천 계양을에서 이재명 민주당 대표와 대결을 선언한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다만, 이날 한동훈 비대위를 상징하는 김경율 비대위원이 서울 마포을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중도층 공략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김 비대위원은 앞서 김건희 리스크를 지적해왔다. 이 과정에서 당정갈등 원인으로 꼽히기도 했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무선전화 가상번호 무작위 표본추출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pkb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