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7월 재보선 '중진차출론 vs 신진기용론' 팽팽

중진, '인지도 높은 유력 인사' 주장…초·재선, '새정치 걸맞은 새인물' 공천해야

(서울=뉴스1) 김현 기자 = 김한길, 안철수 새정치민주연합 공동대표. 2014.6.5/뉴스1 © News1 박세연 기자

</figure>새정치민주연합 내에서 7·30 재보궐 선거 공천과 관련해 중진차출론과 신진기용론이 맞서고 있는 분위기다.

당내에선 6·4 지방선거 결과에 대해 "지고도 이긴 선거"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만큼 7월 재보선에서의 확실한 승리를 위해 당내 유력 인사들을 차출해야 한다는 '중진차출론'과 당의 변화를 보여줄 수 있는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야 한다는 '신진기용론'이 세를 불리고 있는 형국이다.

당 중진들을 중심으로는 '중진차출론'에 힘을 싣는 기류다. 현재 김두관 손학규 정동영 상임고문 등 대선주자급 인사들은 물론 김효석 천정배 전 의원 등 당 중진들의 출전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김상곤 전 경기도교육감 등 인지도 높은 인사들의 차출론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의 한 3선 의원은 9일 뉴스1과 통화에서 "(공천은) 현실적으로 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선거를 앞두고 이것저것 따질 게 아니라 이길 수 있는 사람을 내야 한다"고 말했다.

호남권의 한 3선 의원도 "이번 재보선은 미니 총선이라고 불릴 만큼 양당의 명운이 걸려 있기 때문에 화력을 다해야 하지 않겠느냐"며 중진차출론에 힘을 실었다.

그러나 초‧재선 의원들 사이에선 '새로운 인물'을 내세워야 한다는 '신진기용론'이 힘을 받고 있다.

초선인 김광진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한수진의 SBS 전망대'에 출연, "정치 거물들이 꼭 재보선에 동원되는 것이 대한민국 정치 발전에 맞는 것인가 하는 것은 재고했으면 싶다"며 "정치라고 하는 것은 지역민들의 삶을 바꿔주는 것에 맞닿아야 하는데, 전혀 연고도 없는 상황에서 어떤 특정한 지역에 유명한 사람들이 꽂아져서 전략공천 되는 것은 다시 한 번 재고해봤으면 좋겠다"고 주장했다.

수도권의 한 초선 의원도 "이번 지방선거 결과를 보면, 국민들이 기성정치에 경고를 보낸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방식으로 정치와 선거를 접근해야 한다"면서 "국민들의 생각은 변하고 있는데, 다시 중진들만 전면에 내세운다면 과연 그것이 국민들이 바라는 정치변화에 맞는지 의구심을 보낼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영선 원내대표 등 당 지도부에서도 '새로운 인물론'에 대한 언급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지도부의 한 핵심 의원은 "당연히 이번 재보선은 '새정치', '새인물'로 가는 게 맞지 않겠느냐"면서 "이를 원칙으로 하되 어떤 것을 감안해야 할지는 조금 더 논의해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박 원내대표도 지난 6일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이번 지방선거가 새정치연합에게 분발하라는 채찍인 만큼 7월 재보선을 통해선 국민들이 '새정치연합이 이렇게 변화하고 있구나', '신뢰를 갖고 더 지지할 수 있겠구나'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는 인물을 내세워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당내 일각에선 두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면서 '중진'과 '신진'의 조화를 이룬 공천을 해야 한다는 '절충론'도 제기된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지방선거의 중요성도 있기 때문에 주요 지역엔 중진들을 공천하더라도 당의 역동성과 미래가치를 국민들에게 보여주기 위해선 신진 인사들도 적절하게 분배해서 공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재보선의 특성상 전략공천의 불가피성에 대해 일정부분 인정하면서도 이번 지방선거 당시 논란이 됐던 '윤장현 전략공천' 파문과 같은 당 지도부의 측근 인사 전략공천에 대해선 경계심을 나타냈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재보선을 앞두고 경선을 하게 되면 조직이 와해될 수 있기 때문에 붐업을 위해 1~2곳 정도는 경선을 치르더라도 재보선 특성상 전략공천은 불가피하다"며 "공심위원들이 철저히 당의 미래를 보고 공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은 "전략공천 여부는 당 지도부의 판단"이라고 전제한 뒤 "누구의 측근이라고 최소한의 경쟁력도 없는데 우선적으로 배정하거나 배려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gayunlov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