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엄 사태부터 탄핵 정국까지 조용한 북한…박근혜 땐 어땠나

경제 성과·러시아 밀착에 '총력'…대남 대응 실익 없다 판단
북한 김정은, 2017년 신년사에선 박 대통령 직접 비난도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촛불을 들고 정권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 2024.12.5/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최소망 기자 = 북한이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언 소식부터 8일 탄핵 정국까지 남한에 대한 소식을 전혀 보도하지 않고 있다. '의도적 무관심'은 현재의 상황에 반응을 보이는 것에 실익이 없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지난 4일 자에서 "촛불행동·국민주권 연대·진보연대·대학생진보연합을 비롯한 각계 단체들이 2일 성명을 발표해 윤석열 퇴진과 파쇼악법의 폐지를 요구했다"라고 언급했을 뿐, 그 이후로 남한의 구체적인 상황을 전하지 않고 있다.

남한 사회의 혼란이 대남 공작의 목표이자 선전선동의 주요 과제인 북한의 침묵은 이례적이라는 평가가 나오기도 한다.

현재 북한은 '남북 두 국가' 기조에 따라 전통적인 대남사업 방식을 바꾼 상황이다. 이것이 북한의 현 기조에 결정적 영향을 줬을 수도 있다. 일종의 '무관심' 전략으로 일관한다는 것이다.

또 연말 경제 성과 총화를 3주가량 앞둔 상황에서 성과 올리기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아울러 파병까지 하며 밀착하는 러시아와의 관계에 계속 집중하고, 동시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공식 취임을 대비한 새 전략을 세우는 등 대남 사안보다 더 중대한 문제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관측도 있다.

'박근혜 탄핵' 땐 국정농단·탄핵 관련 소식 수시로 보도

이같은 북한의 모습은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국정 농단' 및 탄핵 사태와 비교했을 때 확연한 차이가 난다.

북한은 지난 2016년 10월 26일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기관지 조선신보를 통해 '최순실 국정 개입 사태'를 언급하며 "박근혜 정권 붕괴의 서막"이라고 비난한 뒤, 노동신문 등 관영매체와 대남 선전매체 등 각종 수단을 동원해 대남 선전전을 이어갔다.

이어 같은 해 12월 9일 박 전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 소추안 가결 소식이 나온 뒤 4시간 만에 즉각 우리민족끼리라는 매체를 통해 관련 소식을 전하기도 했으며, 12월 말쯤에는 박 전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서울 광화문 촛불 시위 영상을 우리민족끼리 TV 등을 통해 보도하기도 했다.

이듬해인 2017년 1월 1일엔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신년사에서 "지난해 남조선에서는 대중적인 반정부 투쟁이 세차게 일어나 반동적 통치 기반을 밑뿌리째 뒤흔들어놓았다"며 '촛불집회'를 언급하고 "진정한 민족의 주적도 가려보지 못하고 동족 대결에서 살길을 찾는 박근혜와 같은 반통일 사대 매국 세력의 준동을 분쇄하기 위한 전민족적 투쟁을 힘 있게 벌여야 한다"라면서 박 전 대통령을 맹비난하기도 했다.

그 이후로도 북한 매체들의 박 전 대통령 비난은 지속해 이어졌고, 노동신문은 물론 북한 대남단체 민족화해협의회(민화협)가 고발장이나 대변인 담화를 통해 관련 상황에 대한 북한의 입장을 수시로 대변했다.

그러다 2017년 3월 헌법재판소의 박 전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 당시 조선중앙통신·조선중앙TV 등을 통해 2시간 20분 만에 신속하게 사실을 보도했으며, 그 이후로도 북한 관영 매체들은 박 전 대통령의 구속이 된 것도 빠르게 하루가 채 지나지 않아 주민들에게 알리곤 했다.

정국 아직 혼돈…상황 '완전 정리' 후 대응 예상

북한의 달라진 기조는 일단 자체적으로 남북관계를 새로 규정한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는 자신들의 과거 방식이 별 실효성이 없었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5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즉각적인 반응이 없는 배경에 관해 "북한도 그동안 대한민국의 역동적 민주주의 상황을 지켜본 만큼 본인들이 (사태 전개에) 개입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고 본다"라고 평가다.

이러한 기조에서 북한이 대남 사안에 민감하게 다루지 않게 됐을 가능성도 있다. 주민들에게 남한을 향한 '적개심'을 고취하는 것과 별개로 실질적인 영향력을 미치기 위한 '공작'은 대폭 줄이게 됐다는 것이다.

한편으론 당장 국면이 '최종 결론'이 나지 않은 혼란스러운 상황이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윤 대통령의 거취나 정권 교체 여부 등이 좀 더 선명해진 다음 '스탠스'를 정하겠다는 의도일 것이라는 관측이다.

somangchoi@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