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밀집' 울산, 민방위 대피시설 484곳 중 화생방 방호시설 0곳

울산시 "구·군 소요 요청 시 행안부에 대피시설 설치 협의"
울산시 올 7월 화학사고 대피장소 현장점검 계획

울산광역시의회 환경복지위원회 손근호 의원.

(울산=뉴스1) 김세은 기자 = 울산지역 민방위 대피시설 484개소 중 화생방 방호시설을 구축한 곳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화생방 방호시설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건물 설계단계에서부터 반영해야 하지만 일반건축물에는 화생방 방호시설 설치 근거가 없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많은 예산이 소요돼 울산을 비롯한 전국에 방호시설이 설치된 일반건축물은 없는 상태다.

전국 지자체 중 건물 신축 시 화생방 방호시설 설치를 권장하고 있는데 울산에서는 시청과 북구청 총 2곳이다.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의 경우에도 시에서 매년 구·군별 소요를 확인하고 있지만 부지선정, 예산편성 등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현재까지 신청한 구·군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행정안전부는 2010년 연평도 포격전 이후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을 접경지역 및 서해5도에 설치하기 시작해 현재 244개의 시설을 설치·운영 중이다.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 구축 시 접경지역 및 서해5도는 1개소당 3.2억원을, 후방지역은 1개소당 1.92억원을 국비로 지원한다.

그러나 접경지역과 서해5도를 제외한 전국 시도 중 정부지원 주민대피시설을 설치한 곳은 현재까지 없는 상황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구·군에서 주민대피시설 설치 요청 시 시에서는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타 시도에서 우선 설치 시 벤치마킹을 통해 우리 시에도 설치될 수 있도록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울산시의회 손근호 의원은 지난 1일 “전쟁 발발 시 석유화학단지와 인근에 월성원전, 고리원전이 있는 울산은 주요 공격 대상 지역이지만, 공습경보 발령 시 대피할 수 있는 484개 대피시설은 모두 아파트 지하 주차장 또는 지하차도, 지하상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노후 원전과 노후 산단, 그리고 지진의 위험에서 자유롭지 못한 우리 울산시민의 안전이 걱정된다”며 시 차원의 주민 대피시설 개선을 주문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화생방 방호시설이 없는 부분은 구·군의 소요 요청 시 행정안전부에 신청해 정부지원 대피시설이 설치되도록 협의하고, 향후 지자체 청사 신축 시 화생방 방호시설을 설치토록 안내하겠다”고 답했다.

한편 공습으로 인해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이 누출되는 '방사선비상' 발령 시 주민들은 자차 또는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수송수단을 통해 안전한 지역 또는 건물 내로 대피해야 한다.

만일 방사선영향이 원자력시설 부지 밖으로 미칠 것으로 예상되면 방사선 영향이 미치지 않는 안전한 지역에 설치된 구호소로 대피하도록 한다.

현재 울산지역 구호소는 총 300개소(중구 48, 남구 82, 동구 41, 북구 54, 울주군 74)로, 방사능재난 시민행동 알림시스템이나 시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학사고 발생 시 실내로 대피하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창문을 닫고 외부 활동을 자제해야 한다.

울산 관내 화학사고 대피장소로는 48개(중구 1, 남구 19, 동구 10, 북구 3, 울주군 15)가 지정돼 있으며, 화학물질안전원 및 구·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 구·군에서는 매년 대피장소를 점검하고 있으며, 울산시는 올해 7월 화학사고 대피장소 현장점검을 진행할 계획이다.

syk000120@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