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AI 행정에 2064억 투입…자체 생성 AI 모델 구축"

지자체 최초 '인공지능 활성화 전략'…윤리 가이드 마련
'불법 콘텐츠 자동 검출' 기술·공공 데이터 챗봇도 개발

ⓒ News1 DB

(서울=뉴스1) 오현주 기자 = 서울시가 2026년까지 2064억원을 투입해 인공지능(AI)을 접목한 행정 서비스를 구축한다. 생성형 AI 기반 서울시 자체 sLLM(소형 언어모델)도 만들어 공무원의 업무 혁신을 이룰 계획이다.

서울시는 AI를 활용한 행정서비스 질 제고와 이용환경 조성 방안을 담은 'AI 행정 추진계획'을 2일 발표했다. 지방자치단체 단위로는 최초의 'AI 활성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신뢰받는 AI 행정 기반 마련 △AI 이용 환경 조성 △AI 행정혁신 가속화를 포함한 세 가지 축으로 진행된다.

시는 AI 행정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이고 실·국 단위로 나눠 진행되던 사업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컨트롤타워(디지털정책관)를 운영하고, AI 전문기관인 '서울디지털재단'을 'AI 기술지원센터'(가칭)로 지정한다.

생성형 AI 사용자가 자율적으로 지켜야 할 'AI 윤리규정'과 '안전성 가이드'도 마련한다.

또한 시는 공무원이 AI를 업무에 적극적으로 쓰도록 1300여 명 대상 '생성형 AI 활용 업무 생산성 향상 교육'도 실시한다. 전년 대비 2배 늘어난 규모다.

AI 신기술 이용료와 생성형 AI 질문 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롬프트(지시어 입력) 학습 동아리'도 운영한다.

이와 함께 시는 '약자와의 동행', '시민 안전망 조성' 등 기존 38개 AI 기반 사업의 품질 향상과 혁신을 진행한다.

'AI 약자와의 동행' 분야에서는 AI가 혼자 사는 어르신에게 주기적으로 전화를 걸고 움직임을 감지하는 '스마트 안부 확인 서비스'를 확대한다. '온라인 불법·유해 콘텐츠 AI 자동화 검출' 시스템도 신규로 개발한다.

'AI 안전망 조성' 분야에서는 2026년까지 안전 취약지역에 설치된 모든 CC(폐쇄회로)TV를 지능형 시스템으로 바꾸고, 드론과 열화상 CCTV를 활용해 산불 조기 발견을 돕는 'AI 기반 산불감시 시스템'을 도입한다.

'AI 매력서비스' 측면에서는 내부 행정데이터 등 6000여 종을 분석해 맞춤 정보를 제공하는 '생성형 AI 기반 공공 데이터 챗봇(채팅 로봇)'이 새롭게 나온다.

또한 시는 'AI 업무방식 혁신'을 위해 서울시 자체 생성형 AI 모델을 만들고 단순·반복 업무에는 업무 자동화(RPA)를 적용한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2024년을 AI 행정 서비스 도입 원년이라는 각오로 급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과 사회변화에 발맞춰 행정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민의 일상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woobi123@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