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돔구장 '셋방살이' 논란 격화…팬 달랠 해결책 나올까

2031년 3만석 규모 돔구장 준공…6년간 대체 구장 사용해야
LG·두산 등 야구팬 원성…서울시, 협의체 만들어 대안 마련

서울 잠실야구장에서 지난 22일 열린 프로야구 '2023 신한은행 SOL KBO리그' LG트윈스와 NC 다이노스의 경기 클리닝 타임 중 LG트윈스 홈경기 15번째 100만 관중 달성 축하 불꽃놀이가 펼쳐지고 있다. /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서울시가 오는 2032년 잠실에 세계 최고 수준의 '돔구장'을 짓겠다고 밝힌 가운데 건설 기간 동안 기존 잠실야구장을 사용하는 프로야구단의 대체 경기장 문제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시는 추석 연휴가 끝나는 대로 야구계와 통합 협의체를 구성, 공식 협의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공식 협의체를 통해 야구계의 볼멘소리를 잠재울 수 있는 '묘수'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30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잠실 일대에 돔구장을 비롯한 첨단 스포츠·전시컨벤션 시설을 조성할 계획이다. 새로 지어지는 폐쇄형 돔구장은 약 5000억원을 투입해 기존 잠실야구장 자리에 3만석 이상의 국내 최대 규모로 들어설 예정이다.

돔 형태로 건립돼 우천과 폭염 등 악천후에 영향 받지 않고 안정적 운영이 가능하며 올스타브레이크(올스타전이 개최되는 약 1주일간의 정규리그 휴식기) 오프 시즌에는 대규모 공연과 행사도 열 수 있다.

시는 내·외야를 순환하는 360도 개방형 콘코스(관중석과 연결된 복도공간)와 스카이박스·필드박스·패밀리존 등 각종 '프리미엄석'도 도입하고 야구장과 호텔을 연계 조성해 객실, 레스토랑, 피트니스 등 호텔 여러 공간에서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관련해 시는 잠실운동장·마이스 복합사업 우선협상대상자인 '㈜서울스마트마이스파크'(주간사 ㈜한화)와 현재 폐쇄형 돔구장 건립 계획을 구체화 중이다.

새로 지어지는 돔구장은 2026년 착공, 2031년 말 준공이 목표다. 기존 잠실야구장 자리에 들어서는 만큼 2025년 프로야구 시즌이 끝난 뒤 2026년부터 잠실야구장은 해체, 철거 작업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야구팬들은 2032년 프로야구 시즌부터 새로 지어진 돔구장에서 야구 경기를 관람할 수 있게 된다.

문제는 이 경우 2026년 시즌부터 2031년 시즌까지 6시즌 동안 잠실구장을 홈으로 하는 두산과 LG가 대체 구장을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두산과 LG 팬들로부터 '셋방살이' 등의 볼멘소리가 나오고 있다.

프로야구단 LG의 염경엽 감독은 최근 "6년이 너무 긴 시간인데 팬들 입장에서는 홈구장이 엉뚱한 곳으로 가버리면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팬들이 결국 서울 시민인데 서울 시민이 불편을 안 겪게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초 KBO와 양 구단은 서울시에 잠실 주경기장을 대체 경기장으로 사용하는 방안에 대해 검토해달라고 했으나 시는 잠실운동장 전역에서 공사가 진행되면 진·출입로의 안전관리 측면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이를 사실상 배제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잠실운동장 전역에서 공사가 진행돼 현 설계대로면 대체구장에 관람객 출입이 봉은교 한 곳을 통해서만 가능한 상황"이라며 "좁고 경사진 길에 최대 1만8000명의 인파가 한순간에 몰리면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시는 철거 후 새 돔구장 건설 기간까지의 대체 야구장으로 고척, 목동, 수원, 인천 야구장 등을 검토 중이지만 각 야구장마다 추가 공사, 먼 거리, '연고 정체성' 타격 등의 문제가 있다.

시는 잠실 돔구장 착공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KBO, 두산·LG와 협의체를 만들어 긴밀히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잠실 야구장의 대체구장과 관련해 KBO, LG·두산 양 구단과 구단측이 추천하는 건설·안전 분야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통합 협의체 구성을 추석 연휴가 끝나는 시점까지 마무리하고, 이르면 다음달 초 1차 통합 협의체를 연다.

통합 협의체는 시민 안전성, 보행 동선, 잠실민자사업의 시설별 단계적 시공방안 등 대체구장 조성 전반에 대한 객관적 검토를 맡는다. 또 LG·두산 측이 추가로 요구하는 안건이 있는 경우 분야별 전문가 의견을 청취해 대안을 모색한다.

jung907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