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꺼지지 않는 무전기…'제주바다 파수꾼' 제주 광역 VTS센터

[해경의날] 제주 전 해역으로 관제범위 확대…면적만 7804㎢
여객선·화물선 등 하루 300여척에 안전정보 제공…"사고 예방"

9일 오전 제주VTS센터 10층 관제실에서 관제사 등이 제주항을 출항하는 여객선의 운항 상황을 선박운영시스템 모니터와 망원경을 통한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다./뉴스1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여기는 S 호입니다. 10분 후 제주항을 출항합니다. 목적지는 진도항입니다."

9일 오전 10시 50분 제주항내 제주 광역 해상교통관제센터(이하 제주 VTS 센터)에 무전이 들어왔다. 제주를 떠나 진도로 향하는 최고 속도 42노트(시속 78km)의 S 호가 출항 준비를 마쳤다고 보고했다.

"여기는 제주 VTS입니다. 제주항에 초속 10m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 항로 인근에선 해경이 훈련 중입니다.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항하십시오."

제주 VTS 센터 관제사는 제주항의 현재 기상 상황을 알려주고, S 호의 항로와 인근 해역에서의 타 선박 존재 여부 등을 안내했다.

10분 후 S 호는 제주항을 출항했다. 순간 제주 VTS 센터 건물에서 가장 높은 10층 관제실에선 긴장감이 흘렀다. 근무자들은 혹시나 모를 위험을 감지하기 위해 망원경으로 S 호의 출항을 확인했다.

담당 관제사는 S 호가 제주 VTS 센터의 관제 범위를 벗어날 때까지 선박의 운항 정보가 표시되는 VTS 운영시스템 모니터를 보며 정보를 제공하는 등 안전 운항을 도왔다.

제주 광역 VTS센터 10층 관제실 전경./뉴스1

제주는 4면이 바다인 섬이다. 우리나라에서 태평양과 가장 가까이에 있어 국내 여객선, 국제 크루즈, 상선, 위험물 운반선, 관공선은 물론 어선까지 하루에도 수백척의 선박들이 주변 해역을 지난다.

제주해양경찰청이 운영하는 제주 VTS 센터는 제주 바다를 항해 중인 선박에 안전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양 사고를 막고, 선박이 위험에 처하거나 해양 사고가 발생했을 땐 즉시 경비함정과 해경 종합상황실에 상황을 전파해 신속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등 24시간 '제주 바다 파수꾼'을 역할을 한다.

제주 VTS 센터는 지난해 9월 '항만' VTS에서 '광역'으로 직제가 개편됐다.

관제 해역 범위도 기존 제주항과 서귀포항 등 항만 중심에서 제주 북부 해역, 제주 전 연안까지로 확대됐다.

관제 구역의 면적도 기존 892㎢에서 7804㎢로 8.7배 커졌다. 이는 단일 VTS 센터 중 전국 최대다.

제주해경청은 시설과 인력확충 등 준비 과정과 올 6~8월 3개월간 시범운영을 거쳐 이달 1일 제주 VTS 센터를 개국, 제주 북부 해역과 연안 해역, 서귀포항 강정지구 해역을 대상으로 관제 서비스를 우선 제공하고 있다.

강권홍 센터장이 선박운영시스템을 보면서 관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뉴스1

제주해경청은 관제사 등 인력을 추가 확충해 내년 2월부턴 제주 남부 해역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관제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제주 VTS 센터의 관제 범위가 확대되면서 관제 대상 선박도 기존 하루 평균 90여 척에서 300여 척으로 늘었다.

센터는 이들 선박에 하루 평균 150건가량의 선박 안전 및 항만 운영 정보를 제공하면서 해양 사고를 예방하고 있다. 또 VTS 센터 관제 대상은 아니지만 일반 어선들과도 수시로 교신하며 안전 조업에 도움을 주고 있다.

일례로 센터는 지난 7월 16일 제주 서귀포시 화순항 남동쪽 해상에서 항해 중이던 화물선의 기관 고장을 가장 먼저 인지하고 주변 선박에 상황을 알리는 안전 관리를 통해 충돌 등 2차 사고를 예방했다.

지난달 10일 새벽에도 성산항이 목적지인 한 화물선이 우도로 향하자, 센터에서 긴급히 선장과 연락을 취해 감속과 항로 변경을 유도, 좌초 사고를 막았다.

강권홍 제주 VTS 센터장은 "제주 해역은 대한민국 해상교통의 거점으로서 하루 수백척 선박이 통항하는 복잡한 해상교통 환경으로 사고 위험이 상존한다"며 "광역 센터로 기능과 위상이 강화되면서 해양 사고 예방과 긴급 상황 발생시 신속 대응이 가능해졌다. 앞으로도 국민들이 바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ks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