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0만 'MZ 픽' 식당 있는 제주 마을에 '메밀 전도사'가 산다

[맛있는 향토일] 한라산아래첫마을 강상민 장인
마을 조합 꾸려 메밀 생산부터 식당까지…제주메밀 홍보에도 박차

편집자주 ...지역마다 특색이 담긴 향토음식과 전통 식문화가 있다. 뉴스1제주본부는 토요일마다 도가 지정한 향토음식점과 향토음식의 명맥을 잇는 명인과 장인들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향토일(鄕土日)이라는 문패는 토요일마다 향토음식점을 소개한다는 뜻이다.

한라산아래첫마을 강상민 대표.(메밀문화원 제공)

(제주=뉴스1) 오현지 기자 = 한라산 해발 500m, '한라산 아래 첫 마을'이 '메밀'로 들썩이고 있다.

마을 주민들이 모여 메밀을 생산·조달하고, 가공공장을 운영해 식당을 만들어내더니 이 작은 마을은 전국에서 한해 10만명이 몰려드는 관광명소가 됐다.

제주 향토음식장인 강상민 대표가 주축이 된 한라산아래첫마을 영농조합법인이 불과 10년도 채 되지 않아 이뤄낸 성과다. 서귀포시 안덕면 광평리에서 나고 자라 농업인의 삶을 꾸려가던 강 대표는 2015년 '죽어가는' 마을에 덜컥 위기감을 느낀다.

강 대표는 "젊은 친구들이 다 나가는 상황에 뭔가 준비를 해야 한다는데 조합원들 의견이 모였다"며 "제주에 깊숙이 뿌리내렸지만, 활용을 잘 못하는 메밀을 소재로 해보자고 결심한 게 시작"이라고 설명했다.

처음 식당문을 열었을 때는 고전했지만, 2020년 재정비해 문을 연 '한라산아래첫마을'은 시작부터 오픈런은 물론 인터넷에서는 예약 팁까지 전수되는 'MZ픽' 맛집이 됐다. 강 대표가 고안한 '비비작작면'이 대히트를 친 덕이다. 비비작작은 어린아이가 낙서하듯 그리는 모양을 뜻하는 제주 방언이다.

한라산아래첫마을 비비작작면(메밀문화원 제공)

조합이 직접 재배한 메밀로 뽑아낸 수제면에 제주산 나물과 들깨, 소고기 등 고명을 얹고 들기름을 넣어 비벼먹는 음식인데 한라산을 형상화한 모양과 형형색색 담음새가 뜻밖에도 '인증샷' 문화에 딱 들어맞았다.

인증샷을 찍은 후엔 음식에 담긴 뜻을 알고 먹으면 더 맛있다. 강 대표는 비비작작면 안에 제주 제사 고유 풍습인 '반'을 담아냈다.

강 대표는 "어렸을 때는 동네 제삿집을 왕래했는데 가면 동그란 쟁반에 고기 한 점, 떡 하나, 과일 하나를 골고루 나눠준다"며 "팔십 먹은 할머니, 할아버지도 뱃속 아기도 공평하게 반을 나눠 가지는데 이 문화를 음식에 표현했다"고 설명했다.

조합은 식당뿐 아니라 연간 약 100톤의 메밀을 조달하고, 메밀쌀·메밀가루·메밀차를 제조하면서 1차·2차·3차 산업을 융합한 '6차 산업'의 선례로도 이름을 알렸다. 강 대표는 2022년 농림축산식품부 선정 농촌융복합산업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메밀신화가 전해 내려오는 곳, 메밀음식 가짓수가 가장 많은 곳 바로 제주다.

돌이 많아 척박하고, 여름이면 수차례 태풍이 몰아치는 섬에서도 '그냥 뿌려놓으면 잘 자라는' 메밀은 제주인들을 살게 하는 고마운 곡물이었다. 메밀조배기(수제비)는 산후조리식으로 쓰였고, 사람이 죽으면 저승 가는 길에 먹으라며 입에 메밀떡을 하나 물려줬다. '메밀로 태어나 메밀로 죽는다'는 말이 그래서 나왔다.

제주민속촌 내 메밀문화원(메밀문화원 제공)

강 대표는 이렇게 제주만이 가진 메밀 이야기를 널리 알리는 데도 열심이다. 제주민속촌에 전국 유일의 '메밀문화원'을 열어 강의부터 생소한 메밀 요리법을 가르치는 교실까지 운영하고 있다.

강 대표는 "제주 농경신 자청비가 하늘에서 땅으로 내려올 때 가져온 게 메밀씨앗이라는 신화가 있는데 이건 전 세계에서 제주가 유일하다"며 "제주에서 메밀이 가진 의미, 타지역·나라와의 생산량 비교 등 메밀과 관련한 것들을 소개하는 강의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주는 국내 최대 메밀 생산지이지만, 인지도는 '메밀꽃 필 무렵'으로 유명한 강원도 봉평에 밀린다. 지난해 소비자 4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메밀하면 떠오르는 지역'으로 62.6%가 '강원도'를 꼽았을 정도다.

강 대표는 앞으로 제주 메밀을 더 열심히 알리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그는 "지금 제주 메밀 생산량 대부분이 봉평으로 가는데 그게 너무 아깝고 부가가치도 적다. 메밀을 우리가 매입하고 가공하면 좀 더 농가에 이익이 돌아갈 수 있는 만큼 공장 규모를 더 키우려고 한다"며 "무엇보다 메밀에 대해 사람들이 아직 많이 모르다 보니 제주뿐 아니라 메밀 자체를 알릴 수 있도록 노력할 생각"이라고 했다.

#이 기사는 제주도와 제주관광공사의 지원을 받아 작성했습니다.

oho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