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회 제주지부 "독립 역사 왜곡돼선 안 된다"…김형석 임명철회 촉구

8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김형석 신임 관장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2024.8.8/뉴스1 ⓒ News1 이시우
8일 충남 천안 독립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김형석 신임 관장이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2024.8.8/뉴스1 ⓒ News1 이시우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4·3 왜곡 발언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에 대한 반발이 제주에서도 확산되고 있다.

광복회 제주지부는 9일 보도자료를 내고 "일제강점기에 우리 민족의 국적이 일본이라고 하면서 강점을 정당화하는 인사가 독립기념관장이라는 신성한 자리에서 독립운동의 역사를 올바로 기리고 이를 후대에 전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김 관장의 임명을 강력히 반대하며 즉각 사퇴할 것을 촉구한다"며 "임명권자와 관계 당국은 김 관장의 임명을 철회하고, 독립기념관의 정신과 역사적 사명을 제대로 이행할 수 있는 인물을 새로 임명해달라"고 요구했다.

또 "대한독립의 역사가 정치적 이념이나 특정 집단의 입맛에 맞게 왜곡돼선 안된다"며 "광복회 회원들은 강점을 정당화한 독립기념관장이 있는 한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했다.

민주당 제주도당도 전날(8일) 논평을 내고 정부에 김형석 관장 임명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김형석 관장은 제주 4·3사건의 도화선인 '3·1절 발포사건'에 대해 '4·3이 남로당 폭동이라는 본질을 희석하려는 정치적 해석'이라고 밝혔고, '4·3진상조사보고서'에 대해선 역사적으로 4·3의 실체를 평가한 연구가 아니라고 주장해 논란을 산 바 있다.

한편 '제주4·3사건 진상 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4·3은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를 거쳐 한라산 금족지역이 개방된 1954년 9월 21일까지 7년 7개월 간 무력 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3만 명(잠정)이 희생당한 사건이다.

1947년 3월1일 제28주년 3·1절 기념식 직후 벌어진 가두시위에서 군정경찰의 발포로 주민 6명이 희생당한 사건이 도화선이 됐고, 이어진 민관 총파업과 서북청년단 등을 동원한 군정경찰의 검거공세가 4·3으로 이어졌다.

ks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