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충돌구 이름 조선후기 천문학자 ‘남병철’로 명명…대한민국 최초

경희대 연구팀, 국제천문연맹에 신청해 심사 통과

남병철 충돌구 사진.(경희대 제공)

(용인=뉴스1) 김평석 기자 = 경희대학교는 달 뒷면 충돌구에 조선시대 천문학자이자 수학자 남병철의 이름이 부여됐다고 19일 밝혔다.

경희대 우주탐사학과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국제천문연맹(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IAU)에 달 뒷면의 특이한 자기장 특성을 보이는 이름이 없는 충돌구에 대한 명칭으로 ‘남병철’을 신청했다. ‘남병철 충돌구(Nam Byeong-Cheol Crater)’라는 이름은 최종 심사를 거쳐 지난 14일 부여됐다.

남병철(南秉哲, 1817-1863)은 조선 후기에 예조판서, 대제학을 역임한 문신이자 천문학자·수학자로 알려져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해경세초해’(海鏡細草解), ‘의기집설’(儀己輯說), ‘성요’(星要), ‘추보속해’(推步續解), ‘규재유고’(圭齋遺稿)가 있다

남병철 충돌구 명명은 달 표면에 붙여진 이름 중 대한민국이 제안해 조선시대 학자의 이름이 부여된 최초의 사례다. 남병철 충돌구는 1980년 이후로 명명된 모든 달 충돌구 중 가장 크다.

경희대는 “아폴로 시대 이후로 이렇게 큰 분화구의 이름을 짓는 일은 매우 드물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총 1659개의 달 표면 충돌구에 이름이 붙여져 있다.

경희대 다누리 자기장 탑재체 연구팀은 미국 산타크루즈대학교(University of California-Santa Cruz) 이안 게릭베셀 교수와 공동연구를 하던 중 이 충돌구의 이름이 없는 것을 발견하고, 남병철이란 이름을 신청했다. 이름은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의 추천과 협의를 거쳐 최종 제안했다.

남병철 충돌구는 달 충돌구가 발생할 때 충격 에너지로 인한 달 표면의 자기장 변화 연구를 진행하던 여러 충돌구 중 하나였다.

달 표면 충돌구 명명은 국제천문연맹이 주관한다. 명칭 부여를 위해서는 그 대상의 과학적 의미가 중요하다. 또 명명되는 이름이 과학자임을 증명할 수 있는 자료가 필요하다.

경희대 연구팀은 산타크루즈대와 함께 그간의 연구 내용을 정리해 제출했다. 남병철은 한국우주과학회가 발간하는 학회지 논문에 게재된 그의 혼천의 연구 등을 참고 문헌으로 삼아 검증을 통과했다.

ad2000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