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어 식문화'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될까
10월쯤 국가무형유산 신청…내년 하반기 유네스코 공모
17세기부터 이어온 김 양식어업도 함께 추진
- 전원 기자
(무안=뉴스1) 전원 기자 = 전남의 대표 식문화인 '홍어 식문화'와 17세기부터 시작된 오래된 수산양식인 김 양식어업이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18일 전남도에 따르면 지역의 무형유산인 김 양식어업과 홍어 식문화를 보존하고 국제적인 브랜드화를 통한 식품산업 연계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전남도는 김 양식 어업의 도 무형유산 지정예고 및 지정고시를 이달 중 진행한다. 10월에는 김 양식어업과 홍어 식문화를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해달라고 신청할 계획이다.
도는 2025년 하반기에 김 양식어업과 홍어 식문화가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될 경우 유네스코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공모에 신청할 방침이다.
홍어 식문화 선사시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대표적인 식문화다.
생홍어와 삭힌홍어 식문화는 다른 국가에서는 볼 수 없는 특별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도는 신안과 목포, 나주를 홍어 식문화의 대상지로 보고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신안 흑산도의 경우 전통적 어로 방식과 생홍어의 식문화 전통이 잘 남아있는데다가 목포와 나주는 삭힌 홍어 식문화와 홍어를 유통했던 특징이 잘 나타난 점이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다.
김은 지난해 수출액이 1조 원 대를 돌파하는 등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도는 광양에 최초 김 서식지가 있고, 전국 78%를 차지하는 최대 생산인 점을 토대로 완도 등 서남해안 일원을 김 양식어업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
김 양식어업은 17세기에 시작된 가장 오래된 수산양식으로 기록에 의해 역사성과 전통성이 확인된데다가 현재까지도 기술과 의례가 전승되고 있는 만큼 가치를 보존할 필요성이 있다고 도는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김 양식어업과 홍어 식문화는 역사성, 전통성을 모두 지니고 있어 보존 가치가 탁월하다"며 "유네스코에 등재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유네스코 등재된 우리나라의 유산은 김장·판소리·강강술래 등 문형문화유산 22건, 한국의 갯벌·석굴암·불국사 등 세계유산 15건, 동의보감·난중일기·승정원 일기 등 기록유산 18건 등이다.
광주와 전남에서는 강강술래와 판소리 서편제, 갯벌, 화순 고인돌 유적,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 등이 등재돼 있다.
junwon@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