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해상풍력으로 전기주권과 국가균형발전을

강상구 전라남도 에너지산업국장

강상구 전라남도 에너지산업국장.

반도체, 인공지능(AI), 데이터 산업이 발전하면서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 세계 전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 세계 에너지 전망에 따르면 2051년 대한민국 전력수요는 지금보다 1.7배 증가할 것이고, 세계적으로는 2.5배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한국의 재생에너지 확대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기업 현장에서 나오고 있다. 한국 RE100협의체에 따르면 국내 제조 수출 기업의 17%가 바이어나 원청 업체로부터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를 받았다고 한다.

그 중 42%는 올해 또는 내년부터 당장 재생에너지로 사용해야 해 기업에 부담이 되고 있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에 8조원을 투자하기로 한 글로벌 기업은 "한국이 세계에서 가장 힘든 곳이다"라고 평가했는데 그 이유가 재생에너지를 구하기가 너무 어렵다는 것이었다.

한국은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목표를 21.6%로 제시했지만,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계통보강을 위해서는 주민수용성이 선결 과제다.

특히 한국은 좁은 국토와 높은 인구밀도로 인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단지 조성에 한계가 있다. 해상풍력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다.

전남도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해상풍력 잠재량을 가졌을 뿐만 아니라 발전사업허가 기준으로 17.3GW 설비량을 확보해 전국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 1위 터빈사 베스타스와 글로벌 통합물류사 머스크와의 투자협약을 맺는 등 해상풍력 산업을 키우기 위해 힘쓰고 있다.

해상풍력산업 생태계 조성에 있어 가장 어려운 점이 전력계통이다. 전기를 생산해도 이를 수송할 전력계통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올해 발표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실무안에서 정부는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 양수발전과 배터리에너지저장장치(BESS) 충당을 제시했으나, 신규 송·변전 설비 확충에 과감한 투자가 없다면 실현에 한계가 있을 것이다.

정보기술(IT) 기업은 판교까지, 제조기업은 평택까지가 취업의 남방한계선이라는 말과 함께 벚꽃이 피는 순서대로 지방대학이 문을 닫을 것이라는 벚꽃엔딩이 회자되고 있다. 재생에너지를 늘리고 국가균형발전 실현을 위해서는 분산에너지법 개선과 전력 다소비 기업의 지방 이전이 검토되어야 한다.

재생에너지를 수도권으로 모두 송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방의 잉여전력의 50% 정도는 생산지에서 소비하도록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에는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다양한 사업 모델이 폭넓게 인정돼야 한다. 분산에너지 범위를 40㎿에서 GW 단위로 확대해 대규모 재생에너지 기반 분산에너지 활성화가 필요하다.

전력 계통의 부담을 줄이고 지방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 인구와 기업뿐만 아니라 전력 수요조차 편중된 수도권에서 AI, 이차전지,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 기업의 지방 이전 인센티브를 강화해야 한다.

전남도는 해상풍력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산업을 통해 전기주권을 확보하고 지방소멸 위기 극복, 국가균형발전을 이루고자 한다.

전남은 에너지 수도를 지향한다. 산업의 쌀인 재생에너지 산업을 선도해 AI 혁명에 필요한 데이터센터 클러스터를 유치하고, 아울러 전력 다소비 기업, 반도체 등 첨단산업을 적극 유치하고자 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스스로 재생에너지를 찾아 우리 지역으로 올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발굴하고 펼쳐나갈 것이다. 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우리 지역에 양질의 일자리가 넘쳐나고, 인구가 늘어나고, 활력이 넘치는 지역이 되기를 꿈꿔본다.

junwon@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