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영제는 까마득한데…'파업 7일째' 목포시내버스 해법 없나?
노조, 7.4% 인상 vs 사측, 220% 체불 상태 '팽팽'
市, 해결책 고심중…시민들 "무조건 퍼주기 안돼"
- 박진규 기자
(목포=뉴스1) 박진규 기자 = 총파업 7일째를 맞고 있는 목포시내버스의 해결 실마리가 보지 않으면서 지역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노사 양측의 의견이 팽팽히 맞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유일한 해법인 준공영제 시행까지는 시간이 많이 남아 답답한 실정이다.
24일 목포시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전국자동차연맹 광주전남지역노동조합 소속 태원·유진지부(목포시내버스노조)가 조합원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이날 오전 5시 첫 배차부터 156대 전체 버스의 운행이 멈췄다.
버스회사의 파업으로 목포시는 임시 버스 20대를 투입애 우선 주요 노선만을 운행하고 인접 무안 군내버스의 노선 확대, 공무원들의 시민 탑승 카풀제 운영 등으로 긴급운송대책을 마련해 운영중이다.
목포시의 인구는 9월 기준 21만 6900명 수준으로, 시민들의 시내버스 이용객 수는 하루 평균 2만명에서 3만명 사이다.
서민들의 발인 시내버스 운행 중단이 장기화되면서 노조에 대한 비난과 함께 시내버스 회사 경영진에 대한 불만, 나아가 목포시 교통행정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있다.
노조는 2년 전에도 파업을 벌여 하루만에 복귀했으며 지난해는 회사측이 적자를 내세워 휴업을 신청했다 여론 악화로 철회하는 등 목포시내버스 문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활화산 같은 존재다.
노조는 올해 초부터 사측과 임금협약을 추진하며 7.4% 임금인상과 한 달 만근일수를 기존 13일에서 12일로 단축할 것을 주장했다. 만근일수 단축에 따른 임금보전액으로는 1인당 30만원을 요구했다. 결국 사측과 협상이 결렬되며 파업을 단행했다.
노조측 주장에 따르면 여수와 순천, 광양 등 전남의 같은 시 지역은 만근일을 12일로 낮췄으나 목포는 여전히 13일로 근무여건이 열악하다. 또한 전남 동부권은 올해 임금 3% 인상에 합의했다. 하지만 목포는 우리는 2년전부터 회사가 어렵다는 이유로 동결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노조 관계자는 "운수직 30% 정도가 정년 이후 계약직으로 일하고 있어 이들의 실수입은 200만원 초반대"라며 "물가는 가파르게 올라가고 있는데 이 급여로는 도저히 살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하지만 회사측은 코로나19에 따른 시내버스 이용객 급감과 연료인 가스비 상승으로 경영난이 가중되고, 현재도 임금 체불은 220%에 이르는 등 하루하루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사측 관계자는 "가스비만 하더라도 2년전 리터당 730~760원선이었으나 올해는 2배 이상 올랐다"며 "현재 은행 채무 94억원에 미적립된 퇴직금이 120억 이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임금 인상은 엄두도 못 낸다"고 토로했다.
목포시는 2년 전 시내버스 노조의 2년 전 파업 당시 10억원의 지원금 약속으로 파업 중단을 유도했으며 지난해 회사측이 적자를 내세워 휴업을 신청했을 경우에도 지원금 20억원을 내세워 철회시켰다.
올해에는 86억원의 재정지원금을 비롯해 시내버스 회사에 118억원의 지원금을 편성했다.
목포 시내버스 회사인 태원여객과 유진운수는 소유주가 동일인으로 사실상 한 회사다. 더욱이 목포상공회의소 회장을 맡고 있는 이 회사 대표가 2개의 버스회사에서 받는 연봉이 2억원에 이른 것으로 알려지면서 혈세 투입에 대한 시민들의 시선은 차가운 실정이다.
무작정 퍼주기식 지원은 안된다는 여론에 따라 시는 준공영제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나 당장 시행은 어렵다.
내년 1월초 용역발표를 거쳐 의회와 시민단체, 노조 등과 협의를 마치면 빨라야 오는 2025년 목포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실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목포시 관계자는 "노조와 사측이 실무진 차원에서 의견은 나누고 있으나 입장 차가 커 해결의 실마리를 찾기가 쉽지 않은 형국"이라면서 "임금 체불은 시가 지원해 줄 수 있으나, 노조가 요구하는 임금 인상은 시가 관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렇다고 시민들의 불편을 무작정 두고 볼 수 없는 실정"이라며 "노사 양측을 최대한 설득하고 시가 할 수 있는 역할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041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