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축성 1700% 뛰어난 웨어러블 열전소자 개발
KAIST·포항공대 공동연구팀
- 김태진 기자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1700% 뛰어난 신축성을 갖는 고성능 웨어러블 열전소자를 개발해 주목된다.
열 에너지를 전기로 전환시키는 열전 소자는 버려지는 폐열을 활용할 수 있어 지속 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문홍철 교수팀이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화학공학과 박태호 교수팀과 열역학적 평형 조절을 통한 기존 N형 열전갈바닉 소자 성능 한계 극복 기술을 구현했다고 14일 밝혔다.
열전 소자의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리기 위해 P형과 N형 소자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최근 우수한 성능을 지닌 P형 열전 소자 연구는 많이 진행하고 있으나 N형 열전 소자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다. 또 이마저도 N형 열전 소자는 P형에 비해 성능이 떨어져 통합형 소자 구현 시 성능 밸런스가 맞지 않아 성능 극대화에 걸림돌이 됐다.
이에 연구팀은 스스로 산도(pH) 조절이 가능한 젤 소재를 개발해 이온을 주요 전하운반체로 사용한 이온성 열전 소자 중 한 종류인 열전갈바닉 소자를 구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젤 소재를 활용해 하이드로퀴논 레독스 반응의 열역학적 평형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었고 이를 통해 고성능의 N형 열전 소자 특성을 구현한 것이다.
이 젤 소재는 가역적 가교 결합을 기반으로 약 1700%의 우수한 신축성과 상온에서도 20분 이내에 99% 이상의 높은 자가회복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설계됐다.
이밖에 개발한 N형 이온성 열전 소자는 4.29 mV K-1의 높은 열전력을 달성했으며, 1.05%의 매우 높은 카르노 상대 효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우수한 성능을 바탕으로 손목에 부착된 소자는 몸에서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체온과 주변 환경의 온도 차이를 이용해 효과적인 에너지 생산에 성공했다.
문홍철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 N형 이온성 열전 시스템이 갖고 있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해당한다”며 “이는 체온을 활용한 전원 시스템 실용화를 앞당기고 웨어러블 소자 구동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연구재단의 나노 및 소재기술개발사업(나노커넥트)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 성과는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 및 환경 과학'에 지난 7일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